세포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NO 항상성에 관한 융복합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ISSN | 1738-1916, |
ISBN |
저자(한글) | 오희균,도은영,박해령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목향(Saussurea lappa)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은 알려져 있으나 세포내에서 신호전달 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이 Raw 264.7세포의 NO(nitric oxide) 항상성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LPS(lipolysaccharide)로 유도한 후, NO(nitric oxide) 생성억제력과 IL- $1{ beta}$ (interleukin- $1{ beta}$ ), TNF- ${ alpha}$ (tumour necrosis factor- ${ alpha}$ ), iNOS와 COX-2를 전사수준(transcriptional level)에서 발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은 RAW264.7 세포에서 LPS를 전처리한 후 유도되는 iNOS와 COX-2가 전사 수준에서 발현 억제와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 ${ alpha}$ 와 IL- $1{ beta}$ 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목향의 에탄올 추출물이 대식세포를 매개로 한 염증반응의 작용기전 연구에 있어서 NO(nitric oxide) 항상성에 영향이 있음을 융복합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향후 염증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 자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0333469907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목향,신호전달,융복합,항상성,Cellular Signalling,COX-2(cyclooxygenase-2),Convergence,Homeostasis,NO(nitric oxide),Saussurea lapp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