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the North China Plai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Peng-tao,YAN, Jun-ping,JIANG, Chong,LIU, Xian-f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화베이 평원(North China Plain)의 56개 기상기지의 1960~2012년의 매일 기상 데이터와 Penman-Monteith 모델에 기반하여 각 기지와 지역의 전체 기준작물 증발산량(ET 0 )을 계산하고 스플라인 보간법(spline interpolation), 기후 경향률, 누적 아노말리(accumulative anomaly), 민감성 계수 등 방법을 이용하여 화베이 평원 ET 0 의 시공간적 변화 및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화베이 평원의 다년간 평균 ET 0 는 1,071.37mm이고 공간상에서 높고 낮은 값이 엇바뀌는 분포 패턴을 나타냈다. 높은 값 중심은 허베이성(Hebei province) 북부, 산둥성(Shandong province) 중부, 허난성(Henan province) 서부에 분포되었고 낮은 값 중심은 허베이성 동부, 산둥성 남부, 허난성 동부 및 허난성 남부 등 지역에 분포되었다. (2) 최근 53년간 ET 0 는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12.8mm/10a). 산둥반도 북부와 허베이성 북부 등 지역은 완만한 증가 추세를 나타냈고 기타 지역은 감소를 위주로 하였다. (3) ET 0 는 기온, 평균 풍속, 일조시수에 정적(+) 민감을 나타냈고 상대적 습도에 대해서는 부적(-) 민감을 나타냈다. 평균 기온과 일조시수의 민감계수는 하강 추세를 나타냈고 상대적 습도와 풍속의 민감계수는 상승 추세를 나타냈다. ET 0 의 기온과 풍속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지역은 동시에 일조시수와 상대적 습도에 대한 민감도가 비교적 낮았다. (4) 귀인분석 결과, 화베이 평원 ET 0 의 주도적 인자는 일조시수이고 다음, 평균 풍속이며 상대적 습도, 최고 온도, 최저 온도가 ET 0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적 작았다. 일조시수가 주도적인 지역은 허베이성 북부, 바상(Bashang) 지역, 허베이성 중부, 허난성 서부, 허난성 남부, 산둥성 중부, 산둥성 서북부이고 평균 풍속이 주도적인 지역은 허베이성 남부, 허난성 황허강 북부, 허난성 중부, 산둥성 서북부이며 온도가 주도적인 지역는 허베이성 북부, 허난성 서부, 산둥반도 등 지역에 드문드문 분포되었고 상대적 습도가 주도적인 지역은 주로 산둥성 남부와 산둥반도에 분포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59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orth China Plain,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Penman-Monteith,sensitivity analysis,화베이 평원,기준작물 증발산량,Penman-Monteith 공식,민감 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