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OU, Shu-ting,ZHANG, Qing,LIU, Si-cen,ZENG, Li-yun,WU, Yun,LIU, Guang-li |
초록 |
2년생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를 실험재료로 하고, 분재방법으로 토양 건조 조건에 대해 인공 시뮬레이션하였으며, 6개 수분 처리 기울기, 즉 토양 함수량이 각각 포화용수량의 100%(포화용수량), 80%(정상적 관개의 대조군), 60%(약한 정도의 건조), 40%(중간 정도의 건조), 20%(강한 정도의 건조), 10%(극도 건조)인 처리를 설정하여, 다양한 수분 조건에서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의 생장과 생리적 지표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정상적 관개의 대조군에 비해, 포화용수량 처리는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의 식물체 높이, 관폭, 엽면적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약한 정도의 건조 스트레스는 그 관폭만 약한 정도로 제한하였고, 건조 스트레스 정도의 심층적 악화에 따라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 각 지표의 생장은 뚜렷하게 억제되었다. (2) 서로 다른 정도의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의 엽편 건중량, 건중량과 생중량의 비 및 비엽중과 대조군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그 잎 형태의 지수는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3) 건조 스트레스 수준의 가중화에 따라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 엽편의 수용성당(Ss), 유리 프롤린(Pro)과 말론디알데히드(MDA) 함량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스트레스 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는 변화 추세를 보였다. 엽편의 과산화물 제거효소(SOD), 카탈라아제(CAT) 활성은 건조 스트레스 시간의 연장에 따라 먼저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였으나, 실험 말기에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엽편 엽록소(Chl a+b) 함량은 건조 정도의 강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연구 결과,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 생장은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서로 다른 정도로 억제되었으나 엽록소의 함량을 증가하여 그 광합성 작용의 정상적 진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건조에 의한 피해를 약화시킨다. 'Melaleuca bracteata' cv. 'Revolution Gold'는 또 지상부 증발 면적을 감소시키고 Ss, Pro 함량 및 SOD, CAT 활성을 증가시켜 건조 스트레스 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며, 극도로 건조한 스트레스[실제함수량(4.42±0.82)%] 조건에서도 식물체가 죽어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교적 강한 건조 내성을 나타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