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damage of NO2 inhalation exposure to myocardial cell mitochondria in ra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OU, Mei-yi,SANG, N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호흡계를 제외한 외, 심장은 이산화질소(NO 2 ) 작용의 중요한 타겟 기관 중 하나로 될 수 있으며, 미토콘드리아는 심장 활동이 고도로 의존하는 세포기관이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관련 지표의 변화를 연구하여 공기 NO 2 오염과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CVD)의 상관성을 탐구하는 것은 이러한 오염물질 노출을 예방하고 이로부터 초래된 질병 치료에 관여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Wistar 쥐의 NO 2 동적 흡입 독성 오염 모델을 구축하여, 만성(대조군, 1×10 -6 과 2.5×10 -6 )과 급성(대조군, 2.5×10 -6 , 5×10 -6 과 10×10 -6 ) 노출 조건에서 쥐 심근세포 미토콘드리아의 초미세구조 변화,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와 활성 기능 수준 변화, 미토콘드리아 호흡사슬 성분 조절의 관련인자 PGC-1α, NRF1과 TFAM 단백질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장기간의 저농도 NO 2 노출은 심근세포 미토콘드리아 수를 감소시켰고 부종을 동반하였다. 활성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각각 대조군의 0.79배(P -6 일 때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고 각각 대조군의 0.76배(P 급성 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의 NO 2 노출일 때 결과는 달랐으며, 쥐 심근세포 미토콘드리아 수는 증가하였다. 활성은 5×10 -6 과 10×10 -6 일 때 뚜렷하게 상승하였고, 각각 대조군의 1.52배(P -6 일 때 뚜렷하게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각각 대조군의 1.51배(P 연구 결과, 장기간의 저농도 NO 2 노출은 심근세포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 기능을 약화시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퇴화시켰다. 그러나 급성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의 NO 2 노출은 상반적인 생물학 효과를 일으켜, 쥐 심근세포 미토콘드리아의 강화 관련 기능이 외부 자극에 적응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보상 작용과 관계가 있었다.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구조의 완벽성으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생리적 메커니즘은 매우 중요하며, 그 손상은 공기 NO 2 오염과 심혈관계 질환 발생 발전과 관련된 중요한 분자 메커니즘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0617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O lt,sub gt,2 lt,/sub gt,. myocardial mitochondria,PGC-1α,NRF1,TFAM,CVD,NO lt,sub gt,2 lt,/sub gt,. 심근 미토콘드리아,PGC-1α,NRF1,TFAM,심혈관계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