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ponse of Toona ciliata Roem. Saplings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to Lead Stress under Three Soil Typ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Yang,HU, Fang-jie,CHEN, Liang-hua,YANG, Wan-qin,ZHANG, J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분재실험을 통하여, 서로 다른 농도(0, 200, 450, 2,000 mg·kg -1 )의 납(Pb) 스트레스 조건에서 석회질 자색토(Calcareous purple soil), 산성 자색토와 충적토(alluvial soil) 3가지 토양 유형에서 생장하는 Toona ciliata Roem. 유묘의 광합성 생리반응을 연구하였으며, 서로 다른 토양 유형에서 Pb 오염에 대한 Toona ciliata Roem.의 생태 적응성을 탐구하여 목본식물의 중금속 복원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1) 3가지 토양 유형에서 Toona ciliata Roem. 유묘 엽편의 엽록소 a, 엽록소 b 및 엽록소 총량은 Pb 스트레스 농도의 증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엽록소 함량이 석회질 자색토에서 받는 Pb 스트레스의 영향은 크지 않았고, 산성 자색토와 충적토에서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2) 서로 다른 토양 유형에서 Toona ciliata Roem.의 광합성 반응 곡선 변화 추세는 매우 유사하였으며, Toona ciliata Roem. 유묘 엽편의 순광합성속도는 Pb 스트레스 정도의 증가에 따라 먼저 증가한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그 차이는 뚜렷하였다. 또한 Pb 농도가 200과 2,000 mg·kg -1 일 때 광합성속도는 각각 최대값과 최소값에 도달하였다. (3) Pb 스트레스 농도의 증가에 따라 Toona ciliata Roem.의 최대 광합성 속도, 겉보기 양자 이용효율, 광보상점 등 광합성 생리 지표는 모두 뚜렷하게 변화하였는데, 이는 Pb 스트레스가 Toona ciliata Roem. 유묘의 광합성 작용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한다. 연구 결과, 고농도의 납은 Toona ciliata Roem. 유묘 엽편의 엽록소 합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로써 광합성 작용의 강도를 억제하였고, 납 스트레스 농도가 높을수록 엽록소 함량은 낮았으며, 광합성 작용은 더 강한 억제를 받았다. 비교적 낮은 농도의 Pb 처리(200과 450 mg·kg -1 )가 산성 자색토와 충적토 내 Toona ciliata Roem.의 순광합성 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작았으며, 석회질 자색토 내 Toona ciliata Roem.의 순광합성 속도에 대한 억제는 가장 뚜렷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80227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oona ciliata Roem.,lead stress,chlorophyll,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soil type,Toona ciliata Roem.,납 스트레스,엽록소,광합성 특성,토양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