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PEI, Shun-xiang,HONG, Ming,GUO, Quan-shui,QIN, Ai-li,ZHU, Li,ZHU, Ni-ni |
초록 |
침수가 발생한 후 식물의 육지 환경을 합성하는 능력과 탄수화물을 저장하는 능력 및 침수 내성 메커니즘은 수위 변동지대(hydro-fluctuation belt)의 식생을 복원하고 재구성 하는 과정에서 식물 재료를 선택하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된다. 우산잔디(Cynodon dactylon)는 싼샤 저수지(Three Gorges Reservoir) 지역의 수위 변동지대에 적응할 수 있는 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는 해발에 근거하여 수위 변동지대를 깊은 물에 잠긴 구간, 얕은 물에 잠긴 구간, 물에 잠기지 않은 구간 등 3개 구간으로 나눈 후, 각 구간 내 우산잔디의 광합성 특성을 시기별로 측정하였다. 침수가 끝난 후, 싼샤 저수지 지역의 수위 변동지대에 서식하는 우산잔디의 광합성 생리 및 생태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깊은 물(22~27 m)과 얕은 물(2~7 m)에 잠긴 구간에서 생장하는 우산잔디의 순광합성률이 물에 잠기지 않은 구간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 차례로 얕은 물에 잠긴 구간 gt; 깊은 물에 잠긴 구간 gt; 물에 잠기지 않은 대조구간 순이었다. (2) 육지 환경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연장될수록 우산잔디의 순광합성률, 겉보기 빛 이용 효율(apparent light use efficiency), 겉보기 CO 2 이용 효율 등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물에 잠긴 후 우산잔디의 탄수화물 합성 능력이 강화되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3) 깊은 물에 잠긴 구간과 얕은 물에 잠긴 구간에서 생장하는 우산잔디의 최대 광합성률, 겉보기 양자 이용 효율(apparent quantum use efficiency) 모두 물에 잠기지 않은 구간에 비해 높았으나, 광 보상점은 뚜렷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물에 잠긴 후 우산잔디의 약한 빛을 이용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반영한다. (4) 우산잔디의 순광합성률은 기공 요소와 비기공 요소의 결합 영향을 받았으며, 침수는 우산잔디가 광합성 잠재력을 발휘하는데 어느 정도의 유도작용을 하였다. 침수와 가뭄 스트레스를 받은 우산잔디의 적극적인 자가 조절능력과 광합성 보상 메커니즘은 우산잔디가 싼샤 저수지 지역의 수위 변동지대에 위치한 물-육지 서식지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중요한 원인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