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UANG, Qiao-qiao,SHEN, Yi-de,LI, Xiao-xia,ZHANG, Guo-liang,HUANG, Dong-dong,FAN, Zhi-wei |
초록 |
원산지가 하이난(Hainan Province)인 Merremia boisiana Oostr는 최근 20년 동안 개체군의 수가 신속하게 많아졌으며 많은 다차생 수림, 인공림과 관목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Merremia boisiana Oostr 개체군에 의해 피해를 입은 서식지 혹은 지역은 다양한 빛 조사와 수분 조건을 갖고 있으나, 재해 발생에 의한 변종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가소성(phenotypic plasticity)을 통하여 다양한 서식지 환경에 적응한다. 다양한 서식지 환경에 적응하는 토종 재해 변종 Merremia boisiana Oostr의 생리생태적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는 온실 화분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빛 조사와 수분 조건이 Merremia boisiana Oostr의 생장, 형태 형질 및 그 가소성, 타감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빛세기가 높고 수분이 부족한 조건에서 Merremia boisiana Oostr의 바이오매스는 다소 감소하였다. 빛세기가 낮을 때, Merremia boisiana Oostr 줄기의 총 길이, 줄기길이 비(specific stem length), 엽면적비는 증가하고 지상부에 대한 지하부 비율(root/shoot ratio)은 감소하였다. 해당 형태 형질의 표현형 가소성 지수는 평균 0.36이었다. 빛세기가 높고 수분이 결핍한 생장 조건에서, Merremia boisiana Oostr 잎의 물 추출액이 상추(Lactuca sativa)의 종자 발아와 어린싹 길이의 생장에 대한 억제작용은 비교적 약하였는데, 이는 해당 스트레스 조건에서 Merremia boisiana Oostr이 경쟁(타감)에 대한 자원 투입을 줄인 것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형태 형질의 가소성은 빛세기가 낮은 환경에서 Merremia boisiana Oostr이 빛에너지를 잘 포획하고 수관층에까지 신속하게 생장하도록 촉진하였으나, 타감작용의 가소성은 Merremia boisiana Oostr이 경쟁(타감)에 대한 자원 투입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수분 조건에 적응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Merremia boisiana Oostr의 형태 형질과 타감작용 분야의 가소성은 다양한 서식지 환경에 적응하고, 재해의 폭발적인 발생을 초래하는 생리생태적 메커니즘 가운데 하나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