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MA, Jin,WU, Lin-fang,WEI, Xiao,YE, Wan-hui,CAO, Hong-lin,SHEN, Hao |
초록 |
식물은 장기적인 진화와 발전 과정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환경에 적합한 형태 구조 및 생리적 특성을 형성하였는데, 식물의 환경에 적합한 생태적 전략을 반영하였다. 삼림 군집에서 지형과 토양 등의 변이는 흔히 서식지의 이질성을 유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생물종의 분포 패턴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서식지 이질성이 비교적 강한 삼림 군집에서 식물종의 분포 패턴과 생태 적응 전략 사이 관계는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딩후산(Dinghushan) 남아열대계절풍 상록홀엽림 내 20 hm 2 의 모니터링 샘플 지역을 플랫폼으로 하고, 두 가지 상록 우점 수종 Ardisia quinquegona Bl.와 Aidia canthioides에 대하여 두 가지 식물의 잎사귀 기능성 형질과 수력학적 구조 특성이 산등성이, 산언덕, 산골짜기 3가지 서로 다른 서식지에서의 생태 적응 전략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생물종의 분포 패턴과 생태 적응 전략 사이 관계를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 Ardisia quinquegona Bl.는 주로 엽면적(LA), 목재 밀도(WD) 및 삼투 조절을 조정하는 것을 통하여 서로 다른 서식지에 적응하였다. Aidia canthioides는 주로 비엽면적, WD 및 삼투 조절을 조정하고, 영양분의 효과적인 보존(저 SLA, 고 건조물질 함량) 및 늦게 생장하고 활착률이 높은 전략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서식지에 적응하였다. Aidia canthioides는 환경 적응 능력이 더욱 강하였으며 특히 산등성이와 산언덕 서식지에서 더욱 강하였다. 두 가지 수종 잎사귀의 기능성 형질과 수력 력학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토양 요인은 서로 달랐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Ardisia quinquegona Bl.와 Aidia canthioides는 산등성이와 산언덕에서 산골짜기보다 적응성이 더욱 강하였으며, 잎사귀의 기능성 형질과 수력학적 구조 특성 면에서 서식지 적응 전략은 서로 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