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and burial on survival and photosynthesis characteristics of two Chenopodiaceae annua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U, Hao,ZHAO, Ha-lin,ZHOU, Rui-lian,LI, J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모래 매몰(sand burial)이 사생식물(psammophyte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및 식물의 광합성 생리 반응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명아주과(Chenopodiaceae) 사생식물의 모래 매몰 내성 및 그 광합성 반응을 비교하고자, 네이멍구 커얼친 사지(Horqin Sandy Land in Inner Mongolia)에 서식하는, 다양한 깊이의 모래에 매몰된 Agriophyllum squarrosum과 Corispermum marocarpum의 5, 10, 15번째 날의 순광합성률, 기공 유통성, 증산 속도, 수분 이용 효율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식물 생장말기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Agriophyllum squarrosum는 Corispermum marocarpum에 비해 더 강한 모래 매몰 내성을 갖고 있었고, Agriophyllum squarrosum 유묘가 모래 매몰에 견딜 수 있는 최대 깊이는 유묘+10cm였으며, 매몰 깊이가 유묘 높이와 같을 때 Corispermum marocarpum이 전부 죽었다. 모래에 매몰된 깊이가 증가할수록, Agriophyllum squarrosum과 Corispermum marocarpum의 생존율이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Agriophyllum squarrosum의 감소폭은 Corispermum marocarpum보다 뚜렷하게 작았다. 모래에 매몰된 후, 두 가지 식물의 기공 폐쇄 혹은 개방 정도는 감소하였으며, 증산 속도의 감소와 수분 이용 효율의 향상을 통하여 모래 매몰 스트레스에 적응하였다. 모래 매몰 스트레스의 심화와 더불어, 두 가지 식물의 순광합성률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모래 매몰 스트레스가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대한 파괴가 비교적 크다는 것을 설명한다. Corispermum marocarpum에 비해, Agriophyllum squarrosum이 모래 매몰 스트레스에 더 양호한 광합성 적응을 보였는데, 스트레스 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순광합성률이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1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urvival rate,stomatal conductance,net photosynthetic rate,transpiration rate,Horqin Sandy Land,생존율,기공 유통성,순광합성률,증산 속도,커얼친 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