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synthetic and Physiological Regulation of C4 Phosphoenolpyruvate Carboxylase Transgenic Rice by Exogenous Ca2+ Under Polyethylene Glycol Stres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植物學報 = Chinese bulletin of botany |
ISSN | 1674-3466, |
ISBN |
저자(한글) | LIU, Xiao-long,LI, Xia,QIAN, Bao-yu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포스포에놀 피루브산카르복실화효소(phosphoenol pyruvatecarboxylase, PEPC)는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광합성 작용에 참여하며, C 4 식물의 광합성 작용과 관련되는 핵심 효소로 꼽히고 있다. 높은 광합성 효율을 갖춘 C 4 PEPC 형질전환 벼(Oryzasativa)의 건조 스트레스 적응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과발현 C 4 PEPC 형질전환 벼(PC)와 야생 벼Kitaake(WT)를 실험 재료로, 식물체의 4~5 엽령단계에 다양한 농도의 외인성 CaCl 2 용액으로 처리하였으며, 15%의 폴리에틸렌 글리콜-6000(polyethylene glycol-6000, PEG-6000) 스트레스에 따른 잎의 상대 수분 함량, 광합성 파라미터, 내인성 칼슘의 총 함량, 잎의 총 단백질 키나아제(protein kinase) 활성, PEPC 효소 활성 및 관련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0.5 mmol·L -1 CaCl 2 는 PC 잎의 상대 수분 함량을 뚜렷하게 증가시켰으나(P -1 와 10 mmol·L -1 CaCl 2 은 뚜렷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WT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양한 농도의 칼슘 처리는 PEG로 처리한 PC의 순광합성률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기공 유통성(stomatal conductance)을 유지시켜 수분 스트레스를 저감시켰다. 내인성 총 칼슘 농도에 관한 데이터는 PEG-6000으로 처리하였을 때 PC가 내인성 Ca 2+ 농도를 유지하고 안정시키는 능력을 갖게 되며, 고농도(10 mmol·L -1 CaCl 2 )의 칼슘으로 처리하였을 때 PEPC 효소의 활성, PEPC 유전자의 발현과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15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Ca lt,sup gt,2+ lt,/sup gt,. C lt,sub gt,4 lt,/sub gt,PEPC transgenic rice,drought stress,PEPCase,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rice,칼슘이온,과발현 PEPC 형질전환 벼,건조 스트레스,포스포에놀 피루브산카르복실화효소,광합성 특성,논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