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에서는 파라핀 절편법(Paraffin sectioning)을 이용하여 5가지 서로 다른 해발 높이에 있는 캐러웨이(Carum carvi)의 1차 해부학적 구조를 비교 연구하고, 1차원과 2차원(면적)적 도량지표(measurements)를 관측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캐러웨이 구조의 변화 규칙을 탐구하고 캐러웨이가 고한 기후에 대한 적응성을 탐구하여 캐러웨이 식용, 약용 식물 자원을 개발하고 이용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 캐러웨이의 1차 구조는 표피, 피층, 유관속주(vascular cylinder)로 구성되었으며 해발이 높아질수록 캐러웨이의 표피 두께, 중과피 두께, 방사조직(Medullary ray) 폭 및 통풍 조직 면적이 점차 커졌다. 유관속 조직과 기본 조직의 비율은 끊이없이 작아졌으며 피층의 세포층 수량, 두께는 점차 줄었다. 유관속의 수량, 두께가 끊임없이 줄었지만 유관속의 발육 정도와 유도관의 직경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다. 캐러웨이 표피가 끊임없이 증가할수록 식물 체내 열량의 산실을 줄일 수 있으며 강한 자외선이 식물에 대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기본 조직 비율이 증가할수록 더욱 많은 생리 조절성 물질을 저장하는데 유리하고 식물의 항산화 능력을 높일 수 있다. 통풍 조직이 점차 발달할수록 공기가 식물 체내에서의 확산 저항력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산소가 지상부에서 지하부로 수송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식물체의 부력을 증가하고 식물체의 비중을 줄이며 식물체에 양호한 지지작용을 하였다. 캐러웨이의 해부학적 구조가 해발에 따른 변화는 식물이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 해발이 높아질수록 줄기 피층의 세포 층수와 두께 및 줄기 내 유관속 수량과 두께는 모두 낮아졌지만 유관속의 발육 정도와 유도관의 직경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층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