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sponse of the Growth and Photosynthetic Properties of Pinus sylvestris var.mongolica Saplings to Strong Wind-sand Flow Blow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O, Ha-lin,LI, Jin,ZHOU, Rui-lian,YUN, Jian-ying,QU, Hao,PAN, Cheng-ch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서로 다른 시간에 강한 모래바람이 불어칠 때 장자송(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saplings) 유묘의 생리생태 반응을 이해하고자, 2013년 봄철에 네이멍구(Inner Mongolia) 커얼친(Horqin) 모래땅에서 8급의 강한 모래바람(풍속이 18 m·s -1 , 모래바람 강도가 173 g·cm -1 ·min -1 )이 10, 20, 30분 불어칠 때 장자송 유묘의 생장과 광합성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바람이 부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장자송의 식물체 높이 생장량은 감소하였고, 줄기 굵기 생장은 빨라졌으며, 낙엽수는 증가하였다. 그 중 30분 처리는 CK에 비해 식물체 높이 생장량이 52.63% 감소하였으며, 줄기 굵기 생장량은 233.30% 증가하였고, 낙엽지수는 466.70% 증가하였다. (2) 모래바람이 불어칠 때, 장자송 유묘의 순광합성 속도, 증산속도, 기공전도도와 세포간 CO 2 농도의 일변화 법칙은 변하지 않았으나, 일 광합성 피크값은 감소하였으며, 일 최대 증산속도는 증가하였다. CK에 비해, 30분 처리한 일 최대 광합성 속도는 22.69% 감소하였으며, 일 최대 증산속도는 11.89% 증가하였다. (3) 바람이 부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엽편 온도, 엽편 상대함수량, 일펴균 광합성속도, 수분이용효율은 감소하였으며, 30분 처리는 CK보다 순서대로 0.60%, 4.37%, 28.57%, 31.58% 감소하였다. 일평균 증산속도, 기공전도도와 세포간 CO 2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30분 처리는 CK보다 순서대로 6.25%, 6.67%, 12.60%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모래바람 스트레스에서 장자송 유묘의 광합성 작용은 억제되었으며, 증산속도는 증가하였고, 수분이용 효율은 감소하였다. 장자송 유묘의 생장속도가 감소된 원인은 주요하게 광합성 면적이 감소하고 광합성 작용이 억제된 것이다. 그 광합성 속도가 감소된 주요 원인은 유묘 엽편의 온도와 엽편 함수량이 감소한 것에 기인한 것이며, 증산속도가 증가한 원인은 주요하게 기공전도도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모래바람의 지속적 침습의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하여, 장자송 유묘는 식물체 높이 생장속도를 감소시키고 줄기의 굵기 생장속도를 빠르게 하는 적응 전략을 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2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inus sylvestris var. mongolica saplings,growth property,strong wind-sand flow,photosynthetic rate,transpiration rate,장자송 유묘,생장 특성,강한 모래바람,광합성 속도,증산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