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신입사원의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통해 심각한 구직난 속에서 어렵게 들어간 신입사원들이 '직장인 사춘기 증후군'으로 방황하지 않고 조직에서 건강하게 자기 자리를 찾아갈 수 있게 도와주고, 대학생활을 통해 조직의 생리를 알아가고 있는 대학생이나 기업이 원하는 역량을 준비하는 취업 준비생 들에게는 기업에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역량을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심리적 적응 기제 요인인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개별성과 관계성의 높고 낮음에 따라 4개 집단을 구성하여 각 집단 간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를 검증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를 삼았다. 분석방법은 대기업 사원급 직장인 140명 대상으로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 과 개별성과 관계성이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을 상관분석 및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개별성, 관계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모두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개별성과 관계성이 둘 다 높은 집단이 개별성과 관계성이 둘 다 낮은 집단 에 비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별성과 관계성의 균형 잡힌 발달이 조직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