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rategies and mechanisms of soil springtails in adapting lower temperature environment:Research prog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Jing,WANG, Yun-biao,WU, Dong-h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저온과 건조는 극지 및 한온대 지역 동물을 위협하는 주요 환경 요인이다. 열악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이 영역내 동물은 반드시 효과적인 방법으로 서식환경에 적응하여야 한다. 토양 콜렘볼라(soil springtails)는 전형적인 체액 동결을 방지하는 것을 주요 전략으로 저온 환경에 적응하는 전형적인 동물군집이다. 항저온의 생태전략과 패턴은 곤충과 비슷하다. 저온 적응과 가뭄의 협동 작용을 이용하여 얼음 결정 형성에 의한 손해를 감소하는데서 표현된다. 항저온 과정에 체내의 글리세린 등 분자 물질의 함량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푸코오스(fucose), 포도당 등 분자는 빠른 속도로 감소되고 저온 보호 단백질-부동 단백질(Antifreeze proteins, AFP)이 생긴다. 또한 지질 사이에서 서로 상호 전환하며 포막의 유동성을 높임으로써 세포를 저온에서 보호한다. 이와 동시에 기타 곤충과는 다른 특이성 전략과 패턴이 존재하는데 주로 눈 덮개 보호를 받는 수직 이주 행위(vertical migration) 및 빙핵제(Ice nucleation agent)를 탈피함과 동시에 체외로 배출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토양 콜렘볼라의 특이한 부동액 패턴과 메커니즘은 저온 생물학 연구가 일정한 과학적 의의를 갖고 있음을 말해준다. 본 논문은 토양 콜렘볼라가 저온 환경에 저항하는 패턴, 유형 및 메커니즘을 서술하고 최근 몇년 사이의 생리생태 메커니즘의 연구 진척을 종합하였으며 토양 콜렘볼라의 항저온 연구에서 존재하는 문제들을 탐구하고 글로벌 변화의 배경에서 토양 콜렘볼라의 저온 생태의 연구 방향을 전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5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oil springtails,low temperature adaptation,behavior strategy,drought dehydration,토양 콜렘볼라,저온 적응,행동 전략,건조 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