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ecies diversity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Western Arctic Ocean during summer 2010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N, Geng-ming,WANG, Yu,YANG, Qing-l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북빙양과 관련된 특히 서부 북빙양(Western Arctic Ocean) 식물 플랑크톤 군락의 자료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중국 제4차 북극과학탐사기간(2010년7월20일-8월30일)에 서부 북빙양(67.0 o ndash;86.1 o N, 152.5 o ndash;169.0 o W)조사에서 얻은 조류 종 조성 및 그 분포자료를 통하여 대륙붕(continental shelf)으로부터 심해분지(deep-sea basin)까지 식물 플랑크톤이 지속적인 해빙변화에 미치는 응답 및 북극 생태계의 천이를 전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조사지역의 표층 식물 플랑크톤 군락의 종 다양성 특징을 묘사하였다. 식물 플랑크톤 샘플은 중국 제4차 북극과학탐사기간에 R/V 'Xuelong'으로 서부 북빙양 50개 측정기지에서 채집하였다. 결과: 서부 북빙양 표층 식물 플랑크톤 종은 풍부하였으며 총 ( gt;5 mu;m)10개 문류(강)67속152종의 식물 플랑크톤을 감정하였는데 4개 생태군락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극지 군락, 북극북방군락, 난온대군락과 세계적으로 광범한 군락 등이다. 조사기간 내 식물 플랑크톤 다양성의 공간적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주로 서로 다른 해역 군락 조성의 공간이질성과 세포 풍도의 변화 분야에서 반영되었다. 클러스터 분석결과, 본 해역지역의 지표수 식물 플랑크톤 군락은 얕은 대륙붕 군락과 심해 대양 군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의 평균 풍도와 종 풍부도 지수는 각각 892.6×10 2 cells/L와 1.81이며 후자(27.7×10 2 cells/L와 1.28)보다 훨씬 높았다. 2개 군락의 우점종 조성은 서로 달랐으며 얕은 대륙붕 군락의 우점종은 풍부하였고 Navicula pelagica, Thalassiosira nordenskioeldii, Chaetoceros diadema, Pseudo-nitzschia seriata, Leptocylindrus danicus, Nitzschia longissima와 Fragilariopsis oceanica 등 종으로 조성되었으며 조사기간에 빗살돌말(Pinnularia)로부터 중심돌말(centric diatoms)로 천이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심해 대양 군락의 주요 우점종은 Thalassionema nitzschioides이다. 본 논문은 또 지표수 식물 플랑크톤 군락의 분포특징 및 그 여러 환경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3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urface water phytoplankton,species diversity,distribution,species succession,Western Arctic Ocean,the arctic ecosystem,지표수 식물 플랑크톤,종 다양성,분포,종 천이,서부 북빙양,북극 생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