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xrtacellular enzym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ulturable bacteria isolated from soil of Grove Mountains,East Antarctic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ONG, Ning,ZHANG, Di,YU, Yong,YUAN, Meng,ZHANG, Xiao-hua,LI, Hui-r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목적] 둥난그루브산(Grove Mountains) 지역의 토양에서 배양이 가능한 세균의 구성 정보를 얻어 균주의 세포외 가수분해효소의 생성과 그 항균 활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법] 평판 도말법(spread plate method)을 이용하여 배양이 가능한 균주를 얻고 16S rRNA 서열에 기초하여 계통 발생분석을 진행하였다. 평판법으로 이 균주의 세포 외 효소의 활성 생산 상황을 검사하고 한천 블록법(agar block method)으로 균주가 다섯 가지 실험균에 대해 내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토양 샘플에서 총 39주의 배양이 가능한 세균을 분리하였는데 그것은 각각 퍼미쿠티스(Firmicutes, 19주, 48.7%),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alpha;-, beta;-, gamma;-프로테오박테리아로 나뉨, 총 10주, 25.6%), 방선균문(Actinobacteria, 8주, 20.5%),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 1주, 2.6%)와 이상구균-서열균문(Deinococcus-Thermus, 1주, 2.6%) 등 5문 20개에 속하였으며 그 중에서 바실루스는 우량균에 속하였다. 결빙 온도가 각각 다른 토양 샘플에서 분리한 균주들 역시 모두 달랐다. 33주의 세균은 적어도 한 가지 종의 세포 외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아밀라아제 생성 균주가 가장 많았다(25주,64.1%). 또 6주의 세균은 적어도 한 가지 실험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었다. [결론] 그루브산 토양에서 배양이 가능한 세균 구성은 큰 분류에서 남극의 기타 지역과 일치하였지만, 속(genera)의 수준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분리하여 얻은 세포 외 효소 활성과 항균 활성을 가진 저온 내성 균주는 남극의 저온 효소와 항균 활성 물질을 연구하고 이용하는 데 우수한 미생물 자원을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55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rove Mountains,culturable bacteria,isolation and identification,16S rRNA,extracellular enzyme,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그루브산,배양가능한 세균,분리 및 감정,16S rRNA,세포 외 효소,항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