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68 protease-producing bacterial strains from the Arctic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Mingxia,Li, Heyang,Chen, Weiwei,Diao, Weicheng,Liu, Chengzhong,Yuan, Min,Li, Xiao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목적] 북극 바닷물 샘플에서 프로테아제(protease) 세균을 분리하고 초보적인 분류 감정을 진행하여, 저온 프로테아제의 저온 적응성과 그 응용 연구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기법] 카제인(casein) 선별 배지에서의 저온 배양법을 이용하여 북극 물 샘플에서 68주의 프로테아제 생성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PCR-RFLP(제한효소 유전자 다형성)법과 기존의 표현형 특성 분석을 이용하여 분리 순화한 균주를 분류하였다. 매 종류의 세균 유형에서 각각 하나의 대표적 균주를 선별하여 16S rRNA 유전자 서열 측정과 GenBank 데이터베이스의 blast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DNAMAN 소프트웨어로 계통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표적 균주의 프로테아제 성질을 초보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68개의 균주는 3가지 유형( 54.41%, 42.65%와 2.94%)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균주 6, 11과 52를 대표적 균주로 선택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 결과, 균주 11은 Chryseobacterium scophthalmum과 98.24%의 상동성을, 균주 52는 Stenotrophomonas rhizophila와 95.55%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균주 6은 Stenotrophomonas rhizophila와 96.50%의 상동성을 보였는데 해당 속의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있었다. 이 세 가지 대표적 균주의 표현형 특성을 연구한 결과, 균주 6, 11과 52은 그람음성이고 막대형이며, 세포 외 리파아제와 아밀라제를 생성하지 않았으며, 비교적 강한 프로테아제 활성을 가졌다. 균주 6 프로테아제의 최적 효소 활성 온도는 55℃, 최적 pH는 6.7이고; 균주 11 프로테아제의 최적 효소 활성 온도는 40℃로서 저온효소에 속하고, 최적 효소 활성 pH는 8.5이며; 균주 52 프로테아제의 최적 효소 활성 온도는 65℃이고, 최적 효소 활성 pH는 7.4였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최초로 북극 바닷물에서 스테노트로포모나스(Stenotrophomonas)와 크리세오박테리움(Chryseobacterium) 균주의 분포를 보고하였으며, 극지 프로테아제 생성 균주의 종 분포 다양성을 보강하여 이후의 저온 프로테아제 연구와 응용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36361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he Arctic,protease,Stenotrophomonas,Chryseobacterium,북극,프로테아제,스테노트로포모나스,크리세오박테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