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ssessment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water quality in the seven suburb rivers of Shanghai in summ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Weixing,Xu, Yuping,Wang, Liqing,Ji, Gaohua,Zhang, 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2011년 8월에 상하이시 외곽에 위치한 7개 구(destricts)의 7개 생태관리 시범공정 하천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종 조성, 생물량과 수질의 물리화학적 요소를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CA(principal components analysis)과 CCA(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이용하여 식물성 플랑크톤 수와 수질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외곽 하천의 수환경을 평가하였다. 식물성 플랑크톤을 총 8문 189종 검출하였는데 그 중에는 녹조식물문(Chlorophyta)이 74종, 규조문(Bacillariophyta)이 45종, 남조식물문(Cyanophyta)이 41종, 유글레나식물문(Euglenophyta)이 18종, 황록조강(Xanthophyceae)이 4종, 은편모조식물문(Cryptophyta)이 3종, 황갈조식물문(Chrysophyta)이 1종 있었다. 녹조식물문, 남조식물문, 규조문은 우점종이었다. PCA 분석 결과,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질소(nitrogen), 인(phosphorus)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였다. CCA 분석 결과, 부유물질(suspended matter), 질소, 인, 과망간산염 지수(permanganate index)와 pH는 모두 식물성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였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생물량과 우점도)와 생물 다양성 지수를 결합하여 평가한 결과, 칭푸 리야오징(Liyaojing River in Qingpu)과 펑셴 쳰중허(Qianzhong River in Fengxian district)는 중영양-부영양형( beta;- alpha;-ms))과 부영양형( alpha;-ms)에 속하였으며, 진산 셰징강(Xiejinggang River in Jinshan district)은 중영양-부영양형( beta;- alpha;-ms)에 속하였으며, 기타 4개 하천은 중영양( beta;-ms)과 중영양-부영양형( beta;- alpha;-ms)에 속하였다. 본 연구조사에서 검출된 Dactylococcopsis rhaphidioides, Cryptomonas erosa, Cyclotella menighiniana 등 9가지 조류는 오염 지표종으로서 해당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38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ytoplankton,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environmental factor,water assessment,saprobic indicator,식물성 플랑크톤,CCA,환경 요소,수질 평가,오염 지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