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IMARY STUDY ON THE SPATIAL-TEMPORAL CHANGES AND THE EFFECT OF SEA RECLAMATION IN CAOFEIDIAN BASED ON REMOTE SENS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湖沼通報 = Transactions of oceanology and limnology
ISSN 1003-64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Yue,YANG, Wenbo,WANG, Lin,ZHANG, Zhong,LI, Jil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은 2003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및 2011년 모두 8년에 걸친 원격 감지 영상 데이터(remote sensing image data)를 융합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에 의해 7개 시기의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에 위치한 차오페이뎬(Caofeidian) 해상 매립의 시공간적 분포 현황를 확인하였다. 연국 결과, 2003년~20011년 기간, 차오페이뎬 해상 매립 면적은 약 274.7km 2 였고 그중 영구 육지 면적은 31.9km 2 였으며 2003년 해상 매립 공정이 시작한 이후, 해상 매립 면적은 매년마다 점차적으로 증가되었으며, 그 중 2007년~2008년기간 해상 매립 면적 증가 폭이 가장 컸으며, 최근들어 해상 매립의 면적의 확장이 감소되고 있다. 해상 매립 후, 차오페이뎬 해역의 해안사구의 면적은 해마다 감소되었고, 이에따라 해안사구 생물의 생존공간도 줄어들었다. 해상 매립 공정 건설은 원래 해수 조류의 자연적 흐름방향을 변화시켰고, 해수의 대류(convection) 및 해수 교환을 방해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9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aofeidian,sea reclamation,remote sensing,principal component analysis,차오페이뎬,해상 매립,원격 감지,주성분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