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fluence of phase 1 of Diaoliang reclamation project on the ecosystem of adjacent sea ar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通報 = Marine science bulletin
ISSN 1001-63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Peng,NI, Yong-qiang,SUN, Mao-ming,MAO, Shan-shan,ZHANG, Guang-zhi,RU, Shao-gu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저우산(Zhoushan) 댜오량(Diaoliang)에서 제1차 개간 공정이 부근 해역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 다른 시간대에 해역의 수질, 식물성 플랑크톤, 동물성 플랑크톤, 저서동물과 조간대 동물에 대한 조사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해역의 해수는 고도의 부영양화 수준에 처해있었으며 무기 질소와 활성 인산염이 표준을 크게 초과하였다. 개간 지역(reclaimed areas)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세포 풍도는 2007년에 최저까지 감소하였고 2011년 8월에는 2007년 8월보다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균일도 지수는 이와 반대되는 변화 추세를 보였다. 개간 공정이 끝난 후, 동물성 플랑크톤의 바이오매스는 뚜렷이 감소하였고 부유유생(larval plankton)이 전체 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대형 저서동물의 서식 밀도, 바이오매스, 다양성 지수는 모두 크게 감소하였고 다모류(Polychaeta) 종이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또 조간대 동물의 서식 밀도, 다양성 지수와 균일도는 모두 감소하였다. 개간 공정에 의해 초래된 해수 수질의 변화는 식물성 플랑크톤, 동물성 플랑크톤, 저서동물의 군락 구조 파라미터와 밀접히 연관되었으며 해수 중의 혼탁물 함량은 부유생물 군락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공정이 끝난 후 저서동물의 군락 구조에도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7018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eclamation,ecosytem,community structure,biodiversity,개간 공정,생태계,군락 구조,생물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