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Xiao-shou,ZHAO, Rui,HUA, Er,LU, Lu,ZHANG, Zhi-nan |
초록 |
2009년 6월에 라이저우만(Laizhou Bay)의 9개 기지에서 채집한 대형 저서동물에 대해 연구하고, 기존의 역사 자료와 비교하였다. 총 96종의 대형 저서동물을 감별하였는데, 총 평균 풍도는 1,902.21 ind./m 2 이고, 총 평균 바이오매스는 8.30 g/m 2 이며, 그중, 절대적 우점종은 연체동물이었다. 풍도에 기반한 CLUSTER 클러스터 분석과 MDS 분석에 근거하여 연구 해역을 퇴적물 유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3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연구 해역의 퇴적물 유형은 점토질 실트, 모래, 사질 실트, 실트질 모래 등 4가지를 포함하였다. BIOENV 분석 결과, 군락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인자는 수심, 저층 수온, 퇴적물 왜도(sediment skewness), 중간 입자 크기, 유기질, 엽록소 함량 등을 포함하였다. 다양성 지수 분석 결과, 각 기지의 생물 다양성은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ABC 곡선 분석 결과, 대부분 기지의 군락 구조는 중등도 정도의 교란을 받으며, 2개 기지만 교란을 받지 않았다. 역사 자료와 비교한 결과, 평균 풍도는 1980년대 및 1990년대보다 다소 증가하였지만, 종 수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 라이저우만은 최근 몇 년간 인류 활동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았고, 서로 다른 정도로 오염되었으며, 따라서, 대형 저서동물 군락 구조의 변화와 생물 다양성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