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acrofaun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Laizhou Bay in summer and the comparison with historical dat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通報 = Marine science bulletin
ISSN 1001-63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Xiao-shou,ZHAO, Rui,HUA, Er,LU, Lu,ZHANG, Zhi-n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2009년 6월에 라이저우만(Laizhou Bay)의 9개 기지에서 채집한 대형 저서동물에 대해 연구하고, 기존의 역사 자료와 비교하였다. 총 96종의 대형 저서동물을 감별하였는데, 총 평균 풍도는 1,902.21 ind./m 2 이고, 총 평균 바이오매스는 8.30 g/m 2 이며, 그중, 절대적 우점종은 연체동물이었다. 풍도에 기반한 CLUSTER 클러스터 분석과 MDS 분석에 근거하여 연구 해역을 퇴적물 유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3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연구 해역의 퇴적물 유형은 점토질 실트, 모래, 사질 실트, 실트질 모래 등 4가지를 포함하였다. BIOENV 분석 결과, 군락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인자는 수심, 저층 수온, 퇴적물 왜도(sediment skewness), 중간 입자 크기, 유기질, 엽록소 함량 등을 포함하였다. 다양성 지수 분석 결과, 각 기지의 생물 다양성은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ABC 곡선 분석 결과, 대부분 기지의 군락 구조는 중등도 정도의 교란을 받으며, 2개 기지만 교란을 받지 않았다. 역사 자료와 비교한 결과, 평균 풍도는 1980년대 및 1990년대보다 다소 증가하였지만, 종 수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 라이저우만은 최근 몇 년간 인류 활동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았고, 서로 다른 정도로 오염되었으며, 따라서, 대형 저서동물 군락 구조의 변화와 생물 다양성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51978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crofauna,species composition,community structure,biodiversity,Laizhou Bay,Bohai Sea,대형 저서동물,종 조성,군락 구조,생물 다양성,라이저우만,보하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