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Hot Spots of Frontiers in the Research of sustainable Yield of Chinese Inshore Fisher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漁業科學進展 = Progress in fishery sciences
ISSN 2095-986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N, Xian-shi,DOU, Shuo-zeng,SHAN, Xiu-juan,WANG, Zhen-yu,WAN, Rui-jing,BIAN, Xiao-d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연안은 아주 중요한 생태 서비스 기능을 갖고 있으며, 많은 어업 생물의 핵심 서식지와 양질의 어장으로 연안 어업 자원의 보충과 지속가능한 생산을 지원하고 있다. 중국의 연안 어업은 90% 이상의 해양 어획 생산량을 제공하며, 중국의 우질 단백질의 중요한 근원으로 꼽힌다. 현재 지나친 어획에 의한 자원량의 급감, 대규모 해양 매립사업, 육지 오염과 해수 양식 등 강도가 높은 인간 활동의 심화로, 연안 자원과 환경 문제가 날마다 뚜렷해지고 있다. 즉 부영양화로 인한 적조, 해파리 대증식 등 생태적 재해, 습지 감소로 인한 산란장, 유생 사육장의 파편화 혹은 기능 상실 등은 연안 어업 자원의 보충과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고 있다. 어업 자원의 보충과정은 해양 생물, 생리 작용의 결합과정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 촉진 인자에 의하여 지속가능한 어업 생산이 조절되고 유지된다. 그러나 어업 개체군의 초기 생활사 단계는 생명 주기에서 가장 취약하고 서식지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한 단계이므로, 소규모의 환경 변화도 그 자원 보충과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어업 개체군의 초기 생활사의 핵심 서식지(산란장, 유생 사육장)와 과정(번식 발육, 생존 생장 등)의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 메커니즘 및 그 자원 효과의 연구가 해양 생태계 변화와 생물 자원의 지속가능한 생산 프런티어의 중점과 핫이슈로 되고 있다. 저자는 중국 내외 관련 연구 동태와 중국 연안 어업 생태계에 존재하는 뚜렷한 문제를 종합하고, 핵심 서식지의 형성과 변화과정 및 메커니즘, 핵심 자원 보충과정과 메커니즘, 어업 개체군이 서식지 변화에 대한 적응성 반응 및 자원 효과의 종합 평가와 모델 분석 등 핫이슈를 전망하고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해당 연구 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26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Fishery populations,Recruitment,Impacts on fishery resources,Environmental changes,어업 개체군,보충 과정,자원 효과,환경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