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statistic and variance of cyclones entering coastal waters of China in 1979-201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N, Ting,WEI, Li-x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1979-2012년 총 34년의 ECMWF 매일 4번의 평균 해수평면 기압의 재분석 자료에 기반하고, 영국 레딩대학교(University of Reading) 사이클론의 객관적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중국 근해에 나타난 온대 사이클론(사이클론 생명사는 1일 이상, 이동 거리는 500km보다 큼)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통계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1979-2012년에 중국 근해에 진입한 온대 사이클론은 평균 매년 45개였으며, 사이클론 수는 봄철과 여름철에 많고 가을철과 겨울철에 적은 특징을 나타냈다. 20세기 90연대 초부터 지금까지, 사이크론 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중 북부 바다지역의 사이클론 수는 증가하여 뚜렷한 수준에 도달하였고, 동부 바다지역의 사이클론 수는 뚜렷하게 감소하지 않는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중국 근해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클론 경로는 북쪽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2) 중국 근해에 진입한 온대 사이클론은 주요하게 4개의 발원지가 있다. 비율에 따라 높은데로부터 낮은데로 각각 장화이(jianghuai) 사이클론(38.9%), 동중국해 사이클론(25.2%), 황허강(Huanghe River) 사이클론(24.3%) 및 몽골(Mongolia) 사이클론(11.6%)이다. 사이클론이 바다에 진입한 후, 대기 해양 조건이 적합할 때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사이클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주요 지역은 조선반도의 동쪽 해수면과 일본의 동쪽 해수면이고, 중국 근해에서 사이클론이 발생하는 비율은 비교적 작다. (3) 사이클론 생명사는 주요하게 1~7일이었으나 생명사가 1~4일인 사이클론 비율이 가장 컸으며 평균 사이클론 총수의 52%를 차지하였다. 그중 여름철 긴 생명사(10일보다 길다)의 사이클론 비율이 가장 커 8%이고, 겨울철에 가장 적어 3%에 가까웠다. 겨울철 사이클론이 가장 강하였으며 기압 분포 구간이 컸다. 여름철 사이클론은 약하지만 많고 중심기압은 집중적으로 분포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3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astal waters of China,automated cyclone detection and tracking algorithm,extratropical cyclones,explosive cyclones,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중국 근해,온대 사이클론,자동 사이클론 추적,시공간적 분포,폭발성 사이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