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alysis of genetic characteristics of two successive generation meiosis gynogenetic population in Erythroculter ilishaeformis Bleek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Qing,GU, Zhi-min,JIA, Yong-yi,LUO, Chen,JIANG, Wen-ping,LIU, Shi-li,LI, F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이종 정자의 저온 충격 기술로 감수분열하여 자핵발생된 1세대(meio-G1), 감수분열하여 자핵발생된 2세대(meio-G2)를 확보한 다음, 중국 타이호의 야생 Culter alburnus Basilewsky를 대조 군체로, 미소부수체 표지 및 무작위 증폭 다형성 DNA(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표지를 이용하여 3개 군체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SR 결과, 12개의 미소부수체 부위는 meio-G1, meio-G2 및 대조군 3개 군체 내에서 각각 38, 16 및 47개의 대립유전자를 증폭시켰는데 평균 대립유전자 수는 각각 3.166 7, 1.333 3 및 3.916 7이었고 평균 관측 이형접합도(H o )는 각각 0.430 6, 0.333 3 및 0.675 0이었으며 평균 이형접합도는 각각 0.569 4, 0.666 7 및 0.325 0이었다. 3개 군체에서 개체 간의 평균 유전적 유사계수는 각각 0.543 0, 1.000 0 및 0.571 9였다. 클러스터 분석 결과, meio-G1은 대조군과 같은 한갈래에 속하였고 meio-G2는 단독으로 다른 한갈래를 형성하였다. RAPD 결과, 14개 프라이머에 의해 3개 군체 내에서 검출된 부위 수는 각각 74, 61 및 64였고 3개 군체의 다형성 부위 비율은 각각 63.51%, 0 및 51.56%였으며 Nei's 지수에 따라 통계한 3개 군체의 유전적 유사도는 각각 0.801 8, 1 및 0.846 0이었다. meio-G2의 게놈 DNA 동질성은 meio-G1 및 대조군보다 훨씬 더 높았다. 두가지 분자표지의 결과로부터 확인한 결과, meio-G2의 동형접합도 및 개체 간의 유전적 유사계수는 모두 meio-G1 및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또한 개체 간의 유전자형이 완전히 일치한 양호한 육종 소재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34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rythroculter ilishaeformis Bleeker,artificial gynogenesis,microsatellite,RAPD,homozygosity,Erythroculter ilishaeformis Bleeker,인공 자핵발생,미소부수체,RAPD,동형접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