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rther Optimization of Selected Observation Triangles Technique Before Star Pattern Matching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宇航學報 = Journal of astronautics |
ISSN | 1000-1328, |
ISBN |
저자(한글) | LI, Xin-lu,YANG, Jin-hua,ZHANG, Liu,ZHI, Shua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논문은 삼각형 별 패턴 인식(star pattern recognition) 알고리즘의 성공률을 증가하고, 매칭 과정의 계산량을 감소시켜 별센서(star sensor)의 실시간 자세 수출 성능을 증가하기 위해 별 패턴 매칭 전의 '2차 최적화'로 관측 삼각형(observation triangle)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해당 방법은 관측 삼각형을 1차 선택한 기초에서 관측 삼각형에 대하여 2차 최적화 선별하여 별 패턴 인식 단계의 효율을 증가하였다. 최적화 선택한 관측 삼각형을 QUEST 자세 결정 원리를 토대로 관측 삼각형의 변과 협각 관계를 상평면(image plane)에 전환하였다. 전부 천구(whole celestial sphere)에 대한 에르고딕 분석 통계(statistical results of ergodic analysis) 결과, 12°×12° 관측 시야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1차 매칭에 성공하여 별 패턴 검증 단계에 이용할 수 있는 정밀도가 비교적 높은 자세 정보의 확률을 60.9% 증가시켰으며, 전반적으로 별센서의 별 패턴 인식 단계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었고, 또한 각 프레임의 전부 천구 자세에 대한 수출 시간 일치성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06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tar sensor,Star pattern recognition,Observation triangle,Optimization algorithm,별센서,별 패턴 인식,관측 삼각형,최적화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