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mote sensing monitoring of the Caofeidian tidal zone evolu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通報 = Marine science bulletin
ISSN 1001-63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Xiao-dan,FANG, Cheng,KANG, Hui,XIE, Hai-lan,LIU, Fu-tian,MENG, L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미국의 Landsat 계열 위성과 중국의 CBERS 위성 및 HJ-1 위성이 촬영한, 1981~2011년 동안 7개의 시간 위상(time phase)에 따른 원격탐사자료(remote sensing data)와 조석(tide) 및 조위(sea level) 자료에 기초하여, '동일 해수면 대조법(same sea level contrasting)'을 적용하여, 차오페이뎬(Caofeidian) 지역 조간대의 공간분포 특징과 갯벌(tidal flat)의 동태적 진화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 30년동안 갯벌간척(Tidal flat reclamation), 해상 매립(sea reclamation) 등 인류활동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조간대의 형태는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를테면 조간대의 위쪽 경계선이 바다를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있었는데, 최대 이동 거리는 약 3km에 달하여, 상부 갯벌의 면적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었다; 이와 동시에 유사량(sediment discharge)의 감소, 풍식작용(Wind erosion), 침강작용(sedimentation), 해표면의 상승 등 요인의 종합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하부 갯벌은 전체적으로 침식 상태에 있었는데, 그 침식정도는 상대적으로 서쪽이 비교적 약한 편이고 동쪽이 비교적 심하였다. 이 외, 해당 지역에서 대규모적 개발 및 건설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갯벌의 평형상태는 파괴되었고, 일부 연안 지역은 갯벌이 일시적으로 침적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6118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idal zone,tidal flat,Caofeidian,remote sensing,evolution monitoring,조간대,조습지,차오페이뎬,리모트 센싱,진화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