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mote Sensing Inverse Model for Sediment Water Content in the Muddy Intertidal Flat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科學進展= Advances in marine science
ISSN 1671-664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IN, Jun,ZHANG, Dong,LIU, Xin,TAO, X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간석지(intertidal flat) 퇴적물 함수량은 간석지 지형 정보를 나타내는 중요한 특징량(Characteristic quantity)이며 간석지 지형 정보를 원격 탐사 수집하는 정확성에 영향을 미친다. 함수량-반사율 지수 감쇠 모델(Attenuation model)을 이용하여 단일 밴드 모델(single-band model)을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4가지 식물 지수의 형식을 참고하여 함수량 지수를 구축하고 간석지 환경에 적합한 함수량 역추적 밴드 결합 모델을 구축하여 퇴적물 함수량의 원격 탐사 역추정을 실현하였다. 연구 결과, 건토 반사율을 이용하여 반사율 데이터를 정규화 처리한 후 구축한 NEWCI(Normalized Enhanced Water Content Index) 정규화 증강형 함수량 지수 모델의 함수량 역추정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함수량 결과에서 모래 유형의 역추정 확인 계수 R 2 가 0.675인 외에 실트(silt), 모래질 실트(sandy silt), 실트질 모래, 점토질 실트(clayey silt) 등 4가지 퇴적물 유형의 역추정 확인 계수는 모두 0.83 이상이었다. 퇴적물 유형을 고려하지 않았을때 NEWCI 지수 모델의 역추정 정확도는 0.8에 도달하였으며 RMSE는 0.059였다. 이는 NEWCI 지수 모델이 퇴적물 유형에 민감하지 않고 비교적 높은 함수량 시뮬레이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므로 해당 모델은 간석지 퇴적물 함수량의 대규모적 예측에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역추정 결과는 간석지 지형 정보를 원격 탐사 역추정할 때 수분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리적 정보 수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4952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diment,water content,NEWCI,hyperspectral,intertidal flat,퇴적물,함수량,NEWCI,하이퍼스펙트랄,간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