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Jian-bu,ZHANG, Jie,CHEN, Jing-yun,SUN, Wei-fu,MA, Yi |
초록 |
1979년, 1990년, 2000년과 2013년 등 4개 시간 위상별 Landsat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하여, 최근 30여 년 동안 랴오허강 하구(Liaohe River Estuary)의 해안선 변화를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1979~2013년에 랴오허강 하구 해안선은 지속적으로 바다쪽으로 이동하였으며, 해안선의 길이는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현재 해안선의 길이는 298 km로, 1979년보다 63 km 증가하였으며, 육지 면적은 410 km 2 증가하였다. (2) 랴오허강 하구의 자연 해안선에서 진흙질 해안선(muddy coastline)이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약 70%의 진흙질 해안선이 항구, 염전과 양식 제방 해안선으로 전환되었다. 1979~1990년에 진흙질 해안선은 주요하게 염전과 양식 제방 해안선으로 전환되었으며, 신세기에 들어선 후 판진항(Panjin Port)의 건설로 하여, 염전 제방 해안선이 항구 해안선으로 전환되었다. (3) 1979~1990년, 1990~2000년, 2000~2013년 등 3개 시간대에 랴오허강 하구 해안선의 변화 속도는 각각 94.2 m/a, 52.1 m/a, 81.0 m/a였으며, 특히 얼제거우진(Erjiegou town)의 해안선은 염전 건설로 하여 1990~2000년에 신속하게 바다쪽으로 이동하였으며, 해안선의 변화 속도는 1,200 m/a에 달하였다. (4) 랴오허강 입해구와 수로에도 비교적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대규모의 양식 개발과 염전 건설, 해양 매립으로 하여, 솽타이쯔강(Shuangtai River) 입해구가 좁아졌으며, 염전과 항구의 건설로 하여 다랴오허강(Daliaohe River) 입해구의 하구가 좁아졌다. 솽타이쯔강 수로와 다랴오허강 수로는 주요하게 토사 퇴적과 양식 제방으로 하여 좁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