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sotopic Characteristics of Main Aquatic Animals and Plants in Multi-Approach Ecological Manipulation Pond of Qingcaosha Reservoir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湖沼通報 = Transactions of oceanology and limnology |
ISSN | 1003-6482, |
ISBN |
저자(한글) | GUAN, Wei-bing,SU, Sun-guo,HE, Wen-hu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생물조작(biomanipulation) 과정에서 여러 단계 먹이사슬에 속해 있는 생물의 작용과 영양구조적 지위를 연구하였다.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stable isotope) 방법을 사용하여 칭차오사(Qingcaosha) 실증실험 기지 생태조작 못(ecological manipulation pond)을 생태 복원하는 과정에서 주요 종류의 안정적인 동위원소 특성을 연구하였다. 칭차오사 실증실험 기지의 생태조작 못에 여러 종류의 물고기를 인공 투입하였다. 그리고 자연적으로 복원된 물고기 종류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실증실험 기지의 생태계를 재구축함으로써 강한 자기 정화 능력(self purification ability)을 회복하였다. 칭차오사 실증실험 기지의 δ 13 C 값은 -21.51~-13.60 사이에 있었고 δ 15 N 값은 1.77~9.38 사이에 있었으며 영양단계(trophic levels)는 1~3.24 사이에 있었다. Hemiculter bleekeri bleekeri warpachowsky, Predatory Carp, 망둥어(Gobies) 등 3가지 생물종의 생태적 지위는 비교적 가까웠고 그들 사이의 영양중복은 적았다. 실증실험 기지 못의 생물다양성은 낮았고 구축한 식물망(food web)은 간단하였다. 영양단계로 구축한 에너지 피라미드에서 소비자의 영양단계가 가장 낮은 것은 저서연체동물과 갑각동물이었고 그 다음으로 초식성 어류였으며 마지막으로 육식성 또는 잡식성 어류였는데 그들은 먹이망의 최상단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입체적 복합 생태조작 기술을 사용하여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복원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원인으로 대형 호수와 저수지의 부영양화 퇴치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함량은 생태계의 영양 구조 연구에 이용할 수 있다. 영양단계로 구축한 에너지 피라미드는 인위적으로 통제하는 간단한 생태계에서 어느 정도의 참고가치를 가진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31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table isotope,trophic levels,ecological manipulation,energy pyramid,안정동위원소,영양단계,생태 복원,에너지 피라미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