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n Experimental Study on Saturated Soft Ground Improvement with Dynamic Compaction Replacement and Dcm Combined with Sand-Drain Based on Monitoring of Pore Water Pressur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ocean university of China 自然科學版
ISSN 1672-51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Hong-jun,WU, Teng,MA, Jiang,WANG, H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칭다오(Qingdao)의 어느 포화 연약지반 지역에서 동다짐 치환(dynamic compaction replacement)과 샌드 드레인(sand-drain)-동다짐의 2가지 방법에 따라 탬핑(tamping)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 지역의 탬핑 점(tramping point)에서 서로 다른 거리와 서로 다른 심도의 토양에서 간극수압계를 매설하였다. 관측 결과에 따라 탬핑 과정에서의 과잉간극수압(excess pore water pressure) 변화 규칙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2,000~2,500kN·m의 탬핑 에너지(tamping energy) 작용에서 점 다짐(point compaction) 실험의 최적 탬핑 수(tamping number)는 동다짐이 14블로(blow)이고 샌드 드레인-동다짐이 16블로였으며, 2가지 방법의 동다짐 유효 보강 심도는 6m에 도달할 수 있다. 동다짐 치환 지역에서는 탬핑 점에 가까울수록 과잉간극수압의 축적 진폭이 더욱 컸으나, 샌드 드레인-동다짐 지역에서 이러한 추세가 뚜렷하지 않았다. 샌드 드레인-동다짐 지역은 동다짐 치환 지역보다 지반이 더욱 좋은 균일성을 가지고 있지만, 다진 후 과잉간극수압의 확산 속도는 더욱 느렸다. 또한, 공극압 모니터링은 동다짐 매개변수를 확정하고 보강 심도를 이해하며 보강 효과를 평가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2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xcess pore water pressure,sand-drain,dynamic compaction,dynamic compaction replacement,과잉간극수압,샌드 드레인,동다짐,동다짐 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