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칭다오(Qingdao)의 어느 포화 연약지반 지역에서 동다짐 치환(dynamic compaction replacement)과 샌드 드레인(sand-drain)-동다짐의 2가지 방법에 따라 탬핑(tamping)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 지역의 탬핑 점(tramping point)에서 서로 다른 거리와 서로 다른 심도의 토양에서 간극수압계를 매설하였다. 관측 결과에 따라 탬핑 과정에서의 과잉간극수압(excess pore water pressure) 변화 규칙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2,000~2,500kN·m의 탬핑 에너지(tamping energy) 작용에서 점 다짐(point compaction) 실험의 최적 탬핑 수(tamping number)는 동다짐이 14블로(blow)이고 샌드 드레인-동다짐이 16블로였으며, 2가지 방법의 동다짐 유효 보강 심도는 6m에 도달할 수 있다. 동다짐 치환 지역에서는 탬핑 점에 가까울수록 과잉간극수압의 축적 진폭이 더욱 컸으나, 샌드 드레인-동다짐 지역에서 이러한 추세가 뚜렷하지 않았다. 샌드 드레인-동다짐 지역은 동다짐 치환 지역보다 지반이 더욱 좋은 균일성을 가지고 있지만, 다진 후 과잉간극수압의 확산 속도는 더욱 느렸다. 또한, 공극압 모니터링은 동다짐 매개변수를 확정하고 보강 심도를 이해하며 보강 효과를 평가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