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N, Li,WU, Yao-jian,CHEN, Feng-gui,JIANG, Jin-long,WANG, Chun-zi,LUO, Yang |
초록 |
본 연구는 푸젠성 해안대(coastal area)의 주체기능 구획(principal coastal functional zoning)의 경계(boundaries) 범위에 대한 확정, 기본 단원(sub-unit)의 구획, 평가 지표 시스템의 구축 및 평가 방법 등 핵심 문제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해안대 주체기능 구획의 범위는 반드시 해양 자원 개발 활동의 집중 구역을 포함해야 한다. 푸젠성 해안대 주체기능 구획의 경계 범위는 아래와 같다. 즉 토지 경계(Land boundaries)는 해안선부터 내륙 한쪽 측면의 연해현(시, 구)까지 행정관리 경계선이며, 해역 경계는 해안선부터 해만(bay) 밖 20 m까지[등심선(isobath)]이다; 해안대 주체기능 구획의 기본 단원을 구분할 때 해역 및 근거로 삼는 내륙을 한개 통일체로 보고 연해현(시, 구) 행정 관할의 내륙과 해역을 기본 평가 단원으로 보아야 한다. 푸젠성 해안대 주체기능 구획의 기본 단원은 24개이고 구획 내륙의 면적은 27,689 km 2 며, 해역 면적은 13,393km 2 였다; 23개 평가 지표를 선별하여 해안대 주체기능 구획의 평가 지표 시스템을 구축하였는데 토지 면적, 해역 면적, 삼림 피복률, 일 인당 해안선 길이 등 지표가 포함된다; 계층 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하여 각 평가 지표의 가중치(weight, W)를 계산하였으며, 종합 평가 모델을 응용하여 자원환경의 수용력(Capacity), 현재의 개발 밀도와 발전 잠재력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동시에 계층 클러스터링 분석법을 이용하여 종합 지수에 대한 등급 분할(grade classification)(저, 중, 비교적 높음, 높음 등 4개 등급)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푸젠성 해안대 지역 각 기본 단원의 자원환경 수용력(A 1 ), 현유 개발 밀도(A 2 )와 발전 잠재력(A 3 )을 얻었다. 연구 결과는 해안대 지역의 관리 실정에 기본적으로 부합되므로 기타 해안대 주체기능 구획의 연구에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