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EDIMENTARY SYSTEMS IN MAXIMUM FLOODING PERIOD OF CARBONIFEROUS IN ZHONGWEI AREA AND ADJACENT REG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前沿 = Marine geology frontiers
ISSN 1009-272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Zhi,CUI, Hong-zhuang,XU, Shu-mei,WU, Peng,ZHANG, Hai-yang,ZHANG, Wei,FENG, Huai-wei,LI, Ling-bo,LI, Jian-wei,XU, Qi-song,LI, M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중국 중웨이(Zhongwei) 및 주변 지역은 중국 아라산 지괴(Alxan block), 화베이 지괴(Huabei block), 북쪽 치롄산(Qilian) 칼레도니아 조산대(Caledonian orogeny)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지역에서 고생대가 지역 구조와 지구의 해수면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받았으므로 형성된 지층이 화베이 지역과 비교적 큰 차이가 있다. 본 논문은 3건의 야외 실제 측정 지질 단면 자료 및 19건의 단면 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단면의 암석 특성, 퇴적 구조, 구성, 퇴적 윤회(sedimentary cycle) 등에 근거하여 중웨이 및 주변 지역의 석탄기 해안선 변화, 퇴적 범위, 주요 해수 범람 시기(flooding period) 퇴적 시스템 및 퇴적상의 종방향 변화 규칙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지역의 석탄계(carboniferous system) 지층을 삼각주, 보초도(barrier island), 탄산염 대지(carbonate platform), 천해(shallow sea) 등 4종 퇴적물 시스템으로 분할하였다. 초기 석탄기 시대 초기에 남쪽 친링(Qinling) 해양의 해수는 연구 지역의 남부에 진입하기 시작하여 퇴적 범위가 협곡 지역의 동서 방향으로 분포되었으며, 초기 석탄기 시대 말기에 해수의 진입 범위는 점차적으로 북쪽 방향 및 동쪽 방향으로 확산되어 초기 석탄기 시대에 아라산(Alxa) 고대륙, 어얼둬쓰(Ordos), 북쪽 치롄산으로 둘러싸인 치롄 해역의 퇴적물 지역을 형성하였다. 초기 석탄기 시대에 바다는 비교적 깊었고 퇴적물은 주로 두꺼운 석회암(limestone)으로 조성되었으며 탄산염암 대지와 보초도 퇴적물 시스템이 비교적 발달하였다. 말기 석탄기 시대에 해수는 계속하여 북쪽 방향과 동쪽 방향으로 확산되었으며, 말기 석탄기 시대 말기에 연구 지역의 치롄 해역과 화베이 대륙 해역은 중부가 융기되고 북부가 융합되었다. 그리고 초기 이첩기(permian) 시대 초기에 중부 융기가 해수에 침몰되었으며 치롄 해역과 화베이 해역은 연결되었다. 말기 석탄기 시대로부터 초기 이첩기 시대 초기에 해수면의 변화는 빈번하였고 바다는 비교적 얕았으며, 퇴적물은 주로 쇄설암(clastic rock)이고 석회암이 조금 함유되어 있었으며 주요하게 삼각주 퇴적 시스템, 보초도 퇴적 시스템 및 천해 침적 시스템을 형성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9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Zhongwei,Carboniferous,maximum flooding period,sedimentary facies,중웨이,석탄기,최대 해수 범람 시기,퇴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