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mparison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Daphnia pulex fed with porphyra powder and 3 other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海洋學學報 = Journal of applied oceanography
ISSN 2095-49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Fei,XU, Shan-liang,WANG, Dan-li,ZHOU, Wei,CHENG, L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GC/MS법을 이용하여 해조 분말(seaweed powder), Chlorella sp., 효모, Banta액[소똥(cow dung) 1.5g+볏짚(rice straw) 2g+우수토양(good soil) 20g+물 1,000cm 3 ] 4가지 먹이 조건에서 물벼룩(Daphnia pulex)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4가지 먹이 배양 조건에서, 물벼룩의 총 지질(total lipid) 함량은 순서대로 39.80, 60.10, 44.60, 52.30mg/g이었다. 총 14종의 지방산을 검출하였는데 그 가운데 8종의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s, SFA), 2종의 단일 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4종의 다중 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이 있었다. 해조 분말 배양 그룹과 Chlorella sp.그룹의 PUFA 함량은 효모 그룹과 Banta액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으며(p 그 중, 해조 분말 그룹의 PUFA에 C18:3이 부족하였으나 C20:5(EPA)와 C20:4(AA) 질량분율은 최고로 22.67%와 9.02%에 달하였으며 Chlorella sp.그룹의 1.6배와 4.5배(p 본 실험은 물벼룩의 지방산 조성과 먹이 지방산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분석 결과, 해조 분말로 배양한 지각류(Cladocera)를 해수 묘목 사육에 이용하여 더 좋은 영양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rine biology,food,seaweed powder,Daphnia pulex,fatty acids,해양생물학,먹이,해조 분말,물벼룩,지방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