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북부해역 유광층에서 TEP 분포와 이산화탄소 인자와의 상호관련성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ISSN | 1226-2978, |
ISBN |
저자(한글) | 전현덕,노태근,이동섭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Trans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는 식물플랑크톤이 배출하는 다당류 물질이 자가응집을 통해 생성되는 끈적거리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해중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는 동해 북부해역에서 TEP 농도 분포특성과 탄소순환에서 역할을 이해하기에 이산화탄소계 인자, 엽록소-a 농도들을 관측하였다. 동해 북부해역의 TEP는 $0{ sim}338{ mu}g ;Xeq ;l^{-1}$ 로 연안역의 농도보다 낮으나 다른 외양역의 대번식기와 유사한 값이 나타났다. TEP의 공간분포는 엽록소-a의 공간 분포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식물플랑크톤이 TEP의 주요 기원으로 사료된다. 직접 측정한 pH와 총 알칼리도의 값을 이용하여 총 용존 무기탄소( $TCO_2$ )를 계산하였으며, 염분 35 psu에 해당하는 값으로 변환된 $NTCO_2$ 는 수온에 대해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수온으로 계산된 $NTCO_2$ 와 현장에서 측정한 $NTCO_2$ 와의 차이는 생물적인 과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제거( $NTCO_{2bio}$ )를 나타내는데, 난수역에서 $NTCO_{2bio}$ 값이 음의 값이 나타났고 TEP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생물적인 과정에 의해서 해수중의 이산화탄소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북위 $44^{ circ}-46^{ circ}$ 냉수역은 표층에서 TEP 농도는 낮지만, 엽록소-a 최대층에서 TEP의 농도 또한 높게 나타났고 TEP에 포함된 탄소(TEP-C)가 $NTCO_{2bio}$ 의 약 40%를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TEP농도가 해수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pH와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TEP의 반응은 살펴볼 수 없었으나 해수 중의 탄소순환에서 생물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TEP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22265356413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Tranparent exopolymer particles,TEP, lt,TEX gt,$TCO_2$ lt,/TEX gt,. Carbon cycle,East s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