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국내 연안의 다양한 양식장의 퇴적물과 양식생물에 대하여 다이옥신류(PCDD/Fs), 다이옥신류피씨비(DLPCBs), 및 브롬화방염제(PBDEs)의 잔류수준을 조사하고 분포를 평가하였다. 양식장 퇴적물 중 PCDD/Fs, DLPCBs, PBDEs는 각각 0.03~2.9(평균 ${ pm}$ 표준편차, $1.2{ pm}0.89$ ) pg $WHO_{2005}$ -TEQ $g^{-1}$ 건중량(dw), 불검출~1.1( $0.09{ pm}0.19$ ) pg $WHO_{2005}$ -TEQ $g^{-1}$ dw, 불검출~16.6( $2.96{ pm}3.53$ ) ng $g^{-1}$ dw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양식생물 체내 함유량은 각각 불검출~0.24( $0.07{ pm}0.06$ ) pg $WHO_{2005}$ -TEQ $g^{-1}$ 습중량(ww), 불검출~0.11( $0.04{ pm}0.04$ ) pg $WHO_{2005}$ -TEQ $g^{-1}$ ww, 0.05~0.29( $0.13{ pm}0.06$ ) ng $g^{-1}$ ww 수준이었다. 국내 연안 중 동해안과 남해안에 위치한 양식장 퇴적물 중 총다이옥신류(PCDD/Fs+DLPCBs)와 PBDEs의 농도는 서해안보다 약 4~7배 높은 수준을 보였다. 퇴적물에서는 총다이옥신류에 대한 PCDD/Fs 기여율이 대부분(평균 94%)을 차지했지만, 양식생물에서는 DLPCBs가 약 33% 수준으로 퇴적물에 비해 높은 기여율을 보였다. PBDEs 중에서는 양식장 퇴적물과 생물 모두에서 BDE209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전 연구와 비교했을 때, 국내연안 퇴적물과 양식생물 중 PCDD/Fs, DLPCBs, PBDEs의 잔류수준은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