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남극 아문젠해에서 234Th/238U 비평형법을 사용한 유광대에서 심층으로의 입자상 유기탄소 침강플럭스 추정; 예비결과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ISSN 1226-297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미선,최만식,이상헌,이상훈,이태식,함도식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남극 아문젠해의 탄소순환을 이해하기 위해서 표층에서 심층으로의 입자상 유기탄소 침강플럭스를 ${ psi}$ / ${ psi}$ 비평형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2012년 2월과 3월에 걸쳐 남극 아문젠해의 총 14개 정점에서 깊이별로 해수시료를 채취하였고, 총 ${ psi}$ , 용존 ${ psi}$ 및 입자상 유기탄소를 분석하였다. 수심에 따라 총 ${ psi}$ 의 활동도 농도는 ${ psi}$ 에 비하여 결핍과 과잉을 나타내었다. 유광대에서 총 ${ psi}$ 의 결핍 정도는 엽록소 및 형광도와 거울상을 나타내고, 질산염 제거와 수반되어 나타나므로 생물 활동의 영향으로 파악되었다. 심층에서 일어나는 총 ${ psi}$ 결핍은 Fe/Mn 산화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유광대 바로 아래의 수층에서 나타나는 총 ${ psi}$ 과잉은 재광물화 작용보다는 이 깊이에 집적된 입자상 ${ psi}$ 에 기인하였다. 정상상태 모델로 추정한 ${ psi}$ 의 침강플럭스는 평균 $867{ pm}246dpmm^{-2}day^{-1}$ 이었으며, 유광대에서 질소와 인의 결핍 총량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입자상 유기탄소와 ${ psi}$ 의 비율( $7.08{ pm}4.27{ mu}molCdpm^{-1}$ )을 이용하여 추정한 입자상 유기탄소의 침강플럭스는 평균 $5.9{ pm}3.9mmolCm^{-2}day^{-1}$ 으로 나타났는데 이 값은 2-3월의 웨델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입자상 유기탄소 플럭스와 일차생산력의 비율로 나타낸 생물 펌프의 효율(ThE)은 3-54%(평균 28%) 범위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1704853915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mundsen Sea, lt,TEX gt,${ psi}$ lt,/TEX gt,/ lt,TEX gt,${ psi}$ lt,/TEX gt,disequilibria,particulate organic carbon export flux,export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