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simulation of the transport diffusion of suspended matter during the construction of Fengwei reclamation project at Meizhou Bay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應用海洋學學報 = Journal of applied oceanography |
ISSN | 2095-4972, |
ISBN |
저자(한글) | GUO, Xiao-feng,WANG, Cui,CHEN, Chu-han,TANG, Jun-ji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개간 프로젝트 공사 과정은 해역 부유물질(suspended matter)을 신속하게 증가시켰고, 주변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쳤다. 개간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부유물질의 이송 확산 법칙을 연구하는 것은 지역 생태환경 질량 및 공학 건설의 종합적 생태 영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참조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메이저우만(Meizhou Bay) 펑웨이(Fengwei) 개간 프로젝트 공사 기간의 부유물질로 인한 생태 영향에 대해, 폭발시켜 진흙을 압출하는 방법(5.17t/s)과 사석을 쌓아 진흙을 압출하는 방법(1.39kg/s)으로 부유퇴적물의 배출량을 분석하고 계산하였다. 프로젝트 바다지역의 평면 2차원 조류장 수학 모델에 기반하고, 2차원 대류 확산 모델을 이용하여 공사 범위내의 메쉬 포인트(mesh point)(40m×40m)에 대해 각 포인트의 계산을 진행하였다.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 부유물질 확산 범위와 형태는 주요하게 조류에 의해 제어되며, 프로젝트 공사의 연합적 영향 조건에서 부유물질 질량 농도가 10mg/dm 3 보다 큰 전체 조류가 최대로 영향을 미치는 엔벨로프(envelop) 면적은 5.848km 2 이었다. 공사 9시간 후 부유물질의 영향은 기본적으로 사라졌으며, 공사기간의 환경 관리에 참조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공사기간 부유물질의 확산으로부터 보아, 공사지역과 비교적 가까운 범위내에서 총 부유물질 질량 농도는 비교적 컸으며, 공사지역과의 거리가 멀수록 질량 농도는 자연상태의 기본 모래 함유량에 가까웠다. 공사기간의 부유물질은 생물 플랑크톤, 유영생물(nekton)과 저서생물 등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나 공사가 종료되어 사라지면 해양 생태에 대해 장기간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4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hysical oceanography,explosion,silt extrusion,riprap,suspended matter,transport diffusion,Meizhou Bay,물리 해양학,폭발,진흙 압출,사석쌓기,부유물질,이송 확산,메이저우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