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crystal form of pyrite from the sediment cores on northern South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海洋學學報 = Journal of applied oceanography
ISSN 2095-49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U, Li-fang,LEI, Huai-yan,OU, Wen-jia,HAN, Ch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남중국해 북부 대륙사면(continental slope in northern South China Sea)의 주상(columnar) 퇴적물 샘플 내 총 유기탄소, 총 유황 함량 및 그 중의 자생적 황철광 형태,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퇴적물 중 황철광(FeS 2 ), 총 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총 유황(total sulfur, TS)의 질량분율은 각각 0~0.71%, 0.37%~1.18%, 0.04%~0.81%였다. 황철광과 총 유기탄소, 총 유황의 함량은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최고봉에 도달한 후 끊임없이 감소하였으며 삼자의 분포 추세는 기본적으로 일치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조건에서 관찰한 결과, 황철광은 주요하게 베리 구형(berry globular)의 집합체(aggregates)와 8면체 마이크로 결정(octahedral micro-crystals) 형태로 생성되었으며, 부분적 층에서는 관 모양, 생물학적 자궁내막 모양(biological endometrial-like)과 정육면체 모양(cube-shaped)의 황철광 결정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해당 지역의 얕은 표층 환경은 산소 결핍 환경이며, 황화물은 주요하게 황철광 형태로 생성되었고 그 구성 요소는 유기질의 혐기성 산화작용과 관계가 있었다. 메탄의 혐기성 산화작용도 자생적 황철광의 형성을 가속화할 수 있었다. 베리 구형의 황철광은 주도적 자리를 차지하였으며 이로써 한가지 강환원성의 산소 결핍 미세환경을 이끌 수 있었다. 황철광이 축적된 산소 결핍 환경은 지하층 중 천연가스 화합물 분해에서 방출한 메탄과 관계되었으며, 해당 지역에서 천연가스 화합물의 탐사에 일정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rine geology,continental slope in northern South China Sea,authigenic pyrite,SEM,morphological structure,해양지질학,남중국해 북부 대륙사면,황철광,SEM,형태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