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HU, Li-ming,CHEN, Pi-mao,LI, Xiao-guo,YU, Jie,FENG, Xue |
초록 |
2013년 2월, 5월, 8월과 12월에 저린만(Zhelin Bay) 및 해당 인접 해역에서 수집한 대형 저서동물(macrobenthic fauna)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해역 내 대형 저서 동물의 종 구성(species composition)과 계절성 변화 특징을 연구하였다 다중 대응 샘플(Multi paired sample)의 비모수적 검증(Nonparametric tests) 기법을 사용하여 유형 구성의 계절성 차이 존재여부를 판별하였다; 종류 갱신 및 천이를 사용하여 종류의 계절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IRI≥100을 대형 저서 동물의 우점종 판별 표준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1) 2013년에 대형 저서 동물이 총 88종 나타났는데 8개 유형(문)의 생물에 속했다. 4위안에 든 유형으로는 각각 연체동물이 41종이고 환절동물이 26종, 극피동물(Echinoderms)과 절지동물이 각각 7종이었다. (2) 문(phylum) 구성은 4개 분기(1년을 4개 분기로 나눈다)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종 구성은 계절성 변화가 뚜렷했다. 여름→가을→겨울 종류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컸으며 군락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았다. 해당 구간의 시간적 환경이 대형 저서동물의 생존 상태 변화에 불리하다; 겨울→봄→여름 종류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군락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해당 구간의 시간적 환경이 대형 저서동물의 생존 상태 변화에 유리하였다. (4) 우점종 구성이 비교적 안정되었다. 1년 동안 조사한 결과 총 9종 생물이 서로 다른 항해에서 얻은 우점종이었는데, 각각 Paphia undulata, Turritella bacillum, 모시조개(Ruditapes philippinarum), Notomastus latericeus, Aglaophamus sinersis, 구멍갯지렁이(Terebellides stroemii), Scolelepis squamata, Pseudopolydora kempi와 Listriolobus brevirostris이었다. 2개 분기 이상의 우점종이 6종으로서 한해 우점종의 66.67%를 차지한다. 봄, 가을, 겨울 3개 분기의 제1우점종이 모두 Paphia undulata이었다; 양식업의 발전이 저린만 및 인접 해역의 대형 저서동물 우점종에 큰 영향을 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