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금강 하구의 6개 정점에서 대.소조기때 순간물리장 측정기법으로 25시 동시 관측된 300개의 유속장을 분석하여 흐름에 대한 유체역학적 제특성을 규명했다. 본 연구결과, 마찰속도, 저면마찰응력, 저면마찰계수 및 거칠기 높이 등이 크기의 차수 이상의 범위로 변하며 분산됨이 밝혀졌다. 저면마찰계수는 6.78 $ times$ $10^{-5}$ ~1.15 $ times$ $10^{-1}$ 의 변화폭을 나타내고 전 관측치의 평균은 1.6 $ times$ $10^{-2}$ 이다. 마찰속도와 저면마찰계수 사이에도 분산이 나타나고 있다. 두 조석 주기에 대해 평균을 취한 값에서는 U* 1cm/s이면 $C_{100}$ 은 그 값을 예측하기 어렵게 변하지만, U* 1cm/s이면 $C_{100}$ 은 U*의 비례하여 증가됨이 밝혀졌다. 또한 Re $_{100}$ 3.6 $ times$ $10^{5}$ 구간에서는 $C_{100}$ 은 예측 불가이지만 Re $_{100}$ 3.6 $ times$ $10^{5}$ 구간에서는 1.4 $ times$ $10^{-2}$ 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유체역학적 제특성에 근거하여 금강 하구의 흐름을 규정한다면 이는 완전 난류 상태의 상류임이 밝혀졌다.혀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