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여수 엑스포 해역의 생물.화학적 해양환경 특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ISSN 1226-741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노일현,오석진,박종식,안영규,윤양호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2012 여수 엑스포 부지인 신항해역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과 이를 조절하는 물리 화학적 요인의 경시적인 변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개 정점을 대상으로 2006년 4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일주일 간격을 원칙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온은 표층에서 $6.8{ sim}27.8^{ circ}C$ , 저층에서 $6.3{ sim}25.9^{ circ}C$ 의 범위를, 염분은 표층에서 12.8~33.0 psu의 범위를, 저층에서 25.2~33.6 psu의 범위를 보였다. 강우가 집중된 하계에 급격하게 염분이 낮아지면서 표·저층사이에 강한 염분약층이 형성되었다. 용존무기질소(DIN)는 표층에서 $1.36{ sim}82.7{ mu}M$ , 저층에서 $1.27{ sim}25.2{ mu}M$ 의 범위를, 인산성 인은 표층에서 $0.06{ sim}2.13{ mu}M$ , 저층에서 $0.07{ sim}1.38{ mu}M$ 의 범위를, 규산성 규소는 표층에서 $1.68{ sim}52.0{ mu}M$ , 저층에서 $1.37{ sim}30.7{ mu}M$ 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영양염류는 계절적으로 강우량이 많은 시기와 저수온기에 높고, 춘계와 추계에 크게 감소하였다. N/P ratio는 표층에서 4.43~325, 저층에서 3.57~321의 범위로 변동하였으며, 강우가 집중되는 시기에 급격히 증가하고, 그 외 시기에는 16 내외의 값을 나타내었다. $Chlorophyll{ alpha}$ 는 표층에서 $0.46{ sim}65.0{ mu}g$ $L^{-1}$ , 저층에서 $0.71{ sim}15.0{ mu}g$ $L^{-1}$ 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저수온기에는 낮은 농도로 유지되다 고수온기에 생물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성분분석과 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해역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의 경시적인 변동은 염분의 변화로 표현되는 담수유입에 의해 크게 지배되는 구조를 보이고, 공급된 무기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의 흡수 동화를 통해 비교적 효율적으로 조절되고 있으며, 또한 저수온기에는 무기화과정과 영양염 순환을 통해 재생산된 영양염이 이 해역의 환경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0315592852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2012 여수 엑스포,식물플랑크톤 생물량,영양염,주성분분석,중회귀분석,2012 Yeosu Expo, lt,TEX gt,$Chlorophyll{ alpha}$ lt,/TEX gt,. Nutrient,PCA,M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