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다양한 물 환경시료에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 검출을 위한 배양 분리방법 개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ISSN 1015-634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오향균,이재진,이재영,박준홍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최근 들어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미생물의 출현으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들이 생겨나고 있으므로 항생제 혹은 항생제 내성 미생물을 검출하는 생태유해성 및 보건 유해성에 대한 평가가 중요해졌다. 한편,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들은 저영양상태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고영양성 배양방법으로는 환경시료 내 미생물들을 분리해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은 환경시료 내 미생물 유해성을 판단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시료 내 항생제 내성 저영양성 미생물들을 분리해 내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실험은 고영양 물질, LB를 희석하고 100 ㎍/mL의 tetracycline을 투여 하여 배지를 만들고 평판확산법을 이용해서 다양한 시료 내에서,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방법으로 음용수와 축산폐수를 분석한 결과 플레이트에서 확인된 미생물들은 저영양성 혹은 항생제 내성 세균이었음을 16S rDNA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청계천수 내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 평가 결과, 항생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에서는 미생물이 자라지 않은 것으로 보아, 청계천 수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한 유해성이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황사 빗물의 경우, 배양된 전체 미생물 중 항생제 내성 미생물의 상대적인 검출빈도는 황사 빗물의 경우가 축산폐수의 그것보다 높은 것을 본 연구 결과에서 보였다. 이는 황사 빗물에 항생제 내성 미생물 유해성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1717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tibiotic resistance,oligotrophic,microbial risk,Asian dust,river water quality,항생제 내성,저영양성,미생물유해성,황사빗물,하천수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