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겨울 황사기간 중 한국, 강릉시의 시간별 가스상 오염물질 농도의 변화 특성 - 2005년 2월 14~16일 사례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기후연구= Journal of climate research
ISSN 1975-615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1-01-01
초록 겨울철 중국 북부의 황사가 강릉시로 유입되는 2005년 2월 14~16일까지 에어로졸분석기와 복합공기수신 실험기를 사용하여 매 시각별 가스상 물질(CO, NO x , O x )의 농도와 입자상 물질의 농도(PM₁ #x2080;, PM 2.5 , PM₁)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PM₁ #x2080;, PM 2.5 와 PM₁의 농도가 증가할 때 CO, NO x , O x 농도가 증가하였다. 2월 14일 20시에 PM₁ #x2080;, PM 2.5 와 PM₁의 최대농도가 133.24㎍/㎥, 53.49㎍/㎥, 43.48㎍/㎥로 나타났으며, CO, NO x , O x 의 최대농도도 각각 14,000ppb, 122ppb, 64ppb로 나타냈다. 15일 01시에 또 하나의 PM10, PM2.5와 PM1의 최대농도가 86.88㎍/㎥, 45.56㎍/㎥, 36.70㎍/㎥로 나타났을 때, CO, NO x , O x 의 최대농도가 각각 15,000ppb, 119ppb, 52ppb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스상물질인 CO, NO x 가 응축과정을 통해 입자상물질로 전환되어 PM의 농도의 증가에 큰 기여를 하였다. 낮에는 중국에서 유입된 황사 및 가스와 지역에서 방출된 대기오염물질이 결합되어 동풍의 해.곡풍에 의해 대관령의 동쪽 사면의 열적내부경계층 내를 통해 대관령 정상으로 이동하므로 PM과 가스농도가 낮았다. 그러나 야간에 수송된 오염물질들이 하강경사풍에 의해 대관령에서 강릉으로 이동하여 지역의 차량, 난방보일러의 배기가스와 도로의 비산먼지와 결합되고, 동풍의 해상풍에 의해 시내의 야간접지역전층 내에 갇히게 되어 PM과 가스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71277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M₁ #x2080,. PM lt,SUB gt,2.5 lt,/SUB gt,. PM₁,CO,NO lt,SUB gt,x lt,/SUB gt,. O lt,SUB gt,x lt,/SUB gt,. 해ㆍ곡풍,대류경계층,열적내부경계층,중력풍,육풍,해양대기경계층,야간접지역전층,sea-valley wind,thermal internal boundary layer,downslope wind,nocturnal surface inversion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