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제주도 고산측정소에서 $PM_{10}$ , $PM_{2.5}$ 미세먼지를 채취하여 주요 성분을 분석한 결과로부터 입경분포 및 오염 특성을 조사하였다. $NH{_4}{^+}$ , nss- $SO{_4}^{2-}$ , $K^+$ , $CH_3COO^-$ 은 대체적으로 미세입자 분포하고, $NO{_3}{^-}$ 은 조대와 미세입자에 고루 분포하였으나 $Na^+$ , $Cl^-$ , $Mg^{2+}$ , nss- $Ca^{2+}$ 은 대부분 조대입자에 분포되는 경향을 보였다. 황사 시에 조대입자와 미세입자에서 nss- $Ca^{2+}$ 이 36.7배, 15.0배 증가하고, $NO{_3}{^-}$ 은 조대입자에서 3.2배, 미세입자에서 3.1 배 높았다. 또 Al, Fe, Ca, K, Mg, Ti, Mn, Sr, Ba의 농도도 크게 증가하였다. 연무 시에는 nss- $SO{_4}^{2-}$ , $NO{_3}{^-}$ , $NH{_4}{^+}$ 농도가 조대입자에서 1.3~2.6배, 미세입자에서 1.5~4.2배 상승하였고, 특히 미세입자에서 $NO{_3}{^-}$ 농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고산지역 미세입자의 오염원 특성을 조사한 결과, 조대입자는 해염 영향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토양, 인위적 오염원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미세입자는 인위적인 오염원 영향이 더 크고, 다음으로 해양과 토양 유입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