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torm surge in Guangdong Province and storm surge hazard study at Yangjiang Cit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ONG, Jian-xi,LI, Tao,HOU, Jing-ming,YU, Fu-j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49년부터 광둥성 10개 전형적인 검조소(Tidal stations)에서 500여 차례의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 과정을 수집, 정리 및 분석하여 광둥성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과 초경계 폭풍해일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광둥성에서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의 주요 발생 시간은 7-9월이었으며 그중 7월에 가장 많았으며 9월에 그 다음으로 많았다. 레이저우반도(Leizhou Island) 동해안에서는 발생차수가 많았을 뿐만 아니라 강도도 강하였으며 다음으로 양장(Yangjiang)이었다. 폭풍해일 재해는 주로 7-10월에 발생하였으며 7월에 가장 많았다. 폭풍해일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구역은 순차적으로 주장강 하구, 레이저우 반도 동해안, 양장 및 산터우(shantou)였으며 폭풍해일 재해가 심한 해역은 순차적으로 산터우, 양장 및 레이저우 반도 동해안이었으며 양장 및 레이저우 반도 동해안은 폭풍해일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구역 및 심한 구역이었다.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이 빈번하면서도 심한 대표적인 구역은 양장시였다. 태풍의 작동(Operational typhoon)에 의한 폭풍해일 모드를 활용하여 다양한 등급 태풍의 영향에서 양장시의 최대 폭풍해일 위해성를 연구하였는데 중심 최저기압이 970hPa인 태풍이 가장 유리한 경로에서 일으키는 폭풍해일은 185cm였으며 약 20a 주기로 한번씩 나타났고 940hPa인 태풍에 의해 생기는 폭풍해일은 310cm였으며 약 500a 단위로 한번씩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1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torm surge,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hazard analysis,폭풍해일,시공간 분포,위해요소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