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eomorphology And Hazardous Geological Factors O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Northern South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前沿 = Marine geology frontiers
ISSN 1009-272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ou, Chuan,Fan, Fengxin,Luan, Zhendong,Ma, Xiaochuan,Yan, J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최신 고정밀도 멀티빔 수심 측량 자료(multi-beam bathymetric data)를 이용하여, 중국 남해(South China Sea) 북부 대륙붕의 지형 유형과 특성을 계통적으로 식별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지역에서 활성 모래파(active sand waves), 사태(slides), 산마루(uplift ridges), 해구(trenches), 얽은 자국(pockmark) 등 지질재해 요소를 발견하였다. 해당 지역의 파는 직선형이었으며, 소, 중, 대형 모래파로 나뉘었으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가면서 수심, 모래파 규모, 모래파 활동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복류(underflow) 내부파(internal wave)의 특성 변화는 모래파의 규모와 이전 상황과 일치하였으며, 모래파의 형성과 이전은 내부파의 활동과 밀접히 연관되었다. 사태(slide)의 특성에 근거하여 7가지 사태 지형을 식별하였다. 해당 지역에서 이전의 사태 외 새로운 사태도 발견하였다. 사태는 선형 확장을 나타냈으며, 계단형 사태 특성이 뚜렷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최근 새로운 사태가 더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잔류 구정선(residual paleocoastlines)의 영향으로 인하여, 남부 지형은 기복이 심하였으며, 일련의 산마루를 생성하였다. NE mdash;SW 주향인 K1 mdash;K4 산마루는 평행으로 배열하였으며, 동서주향인 K5 산마루와 교차하였다. 이밖에, 해당 지역에는 대량의 pockmark가 만들어 졌는데, 그 직경은30~100m였으며, 깊이는1.0~3.0m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33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azardous geological factor,sand wave,slide,residual paleocoastlines,pockmark,지질재해 요소,모래파,사태,잔류 구정선,poc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