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산불 2차 재해의 발생은 환경질량과 인류의 건강 및 안전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 화재 후 토석류(Post-fire debris flow)는 가장 위험한 산불 2차 재해 중 하나이다. 토석류의 발생 조건을 이해하고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화재 후 재해 위험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초이다. 본 논문은 식생, 강우 임계값(precipitation threshold), 토석류 원천 등 3가지 면으로부터 화재가 토석류에 미치는 영향을 서술하고 화재 후 토석류가 발생하게 되는 지형, 강우, 경사면 조건 및 얕은 산사태(Shallow landslide)와 지표 유출(Runoff)이 토석류를 일으키는 작용 메커니즘을 분석하였으며 화재 후 토석류의 예측보호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 진척을 종합하여 서술하였다. 끝으로 앞으로의 연구에서 반드시 주의하여야 할 4가지 면에 대해 서술하였다. 화재 행위 및 환경 요인과 화재 후 토석류 사이 관계를 계량화 하여야 한다. 화재 후 토석류의 발생, 이동 과정을 정량 분석하여야 한다. 화재 후 토석류 메커니즘 모델을 연구하여야 한다. 화재 후 토석류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