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토광물의 분광반사율 및 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지역 분석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ISSN | 1226-5268,2287-7169 |
ISBN |
저자(한글) | 남경훈,이홍진,정교철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2011년 경기도 용인시에서 발생한 산사태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팽창성 점토광물 및 지형분석을 통한 산사태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XRD, XRF, 분광분석 및 아스터(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점토광물 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한 산사태 발생원인과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일라이트는 0.9와 $1.0{ mu}m$ 인근파장대역에서 $Fe^{2+}$ 와 $Fe^{3+}$ 의 흡수가 나타났으며 1.4와 $1.9{ mu}m$ 인근파장대역에서 OH와 $H_2O$ 의 강한 흡수 특성이 일어났다. 추가적으로 2.2, 2.3과 $2.4{ mu}m$ 인근파장대역에서 Al-hydroxyl이 나타났다. 흡수 특징은 아스터 위성영상의 밴드 5, 6, 7에서 일치하였고, $SWIR_{Illite}$ 밴드연산을 이용하여 일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팽창성 점토광물에 의한 산사태 해석에 아스터 위성영상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3145458916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산사태,분광반사율,점토광물,아스터,밴드연산,landslide,spectral reflectance,clay mineral,ASTER,band ma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