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화토 종류와 사면파괴 유형에 따른 위험수준별 산사태 유발 강우규준에 대한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ISSN | 1738-2424,2287-6723 |
ISBN |
저자(한글) | 강효섭,김윤태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강우규준을 설정하기 위해 통계적 기법인 분위수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통계적인 방법을 통한 I-D 강우규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산사태 DB를 풍화토 종류와 산사태 발생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여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을 제시하였다. 분위수 회귀분석에서 얻어진 2nd, 20th 및 50th 분위에 해당하는 회귀선을 기준으로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을 정의하였다. 즉 2nd이하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Null, 2nd~20th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보, 20th~50th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주의보, 50th이상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경보로 구분하였다. 화성암 풍화토 및 퇴적암 풍화토 지역 보다 변성암 풍화토 지역이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에 민감하다. 토석류는 얕은 산사태에 비해 강한 강우강도를 가지는 강우가 내릴 때 주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풍화토 종류와 산사태 발생유형에 따라 산사태 유발 강우규준이 차이남을 알 수 있다. 제안된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은 2013-2014년의 산사태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풍화토 종류와 발생 유형에 따른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은 산사태 예 경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2165049381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강우규준,위험수준,풍화토 종류,산사태 유형,분위수 회귀분석,강우강도-기간,Rainfall criteria,Warning level,Weathered soil type,Landslide type,Quantile regression,Rainfall intensity-duration(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