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JI, Mo,ZHANG, Gong-cheng,YANG, Hai-chang,YANG, Dong-sheng,LI, Chun-lei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중국 충둥난 분지(Qiongdongnan basin) 심층수 지역의 동부 함몰 지대(sag belt)인 쑹난-바오다오-창창 함몰 지대(Songnan-Baodao-Changchang Sag)는 충둥난 분지 중부 함몰 지역의 동쪽에 위치하여 있다. 해당 위치에 대한 대량의 지진 자료를 연구한 기초에서 38개 위치의 주요 단면에 대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충둥난 분지 심층수 지역의 동부 함몰 지대 평면은 EW 방향으로 분포된 평행 4변형이였고 단면 구조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반지구(half-graben)-비대칭 지구(asymmetric graben)-반지구 규칙적인 형식으로 변화되었다. (2) 충둥난 분지 심층수 지역의 동부 함몰 지대 단층계(fracture system)를 함몰 경계선 제어 단층, 퇴적물 함락 중심 제어 단층 및 조절성 단층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3) 충둥난 분지 심층수 지역의 동부 함몰 지대는 고제3기(paleogene)에 태평양 지괴의 섭입(subduction) 작용과 남중국해 분지의 확장이 미치는 2중 영향으로 구조 응력장은 NW-SE→SN 변화가 발생하였다. 구조적 진화를 3개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32Ma 단계, 응력장은 지역성으로 주로 NW-SE 방향으로 확장되고 단층계는 주로 NE-SW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통하여 함몰 경계선을 제어하였다. 32~26Ma 단계, 남중국해 분지의 응력장은 주로 SN 방향으로 확장되고 단층계는 주로 NWW-SEE 방향으로 확장되었으며 단층 활동은 퇴적물 함몰 중심을 제어하였다. 26~ Ma 단계, 지역성 확장 응력 및 남중국해 분지 확장 응력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고 NE-SW 방향과 NWW-SEE 방향의 단층은 계속하여 형성되었다. (4) 충둥난 분지 심층수 지역의 동부 함몰 지대 내부 주요 단층은 점신세(oligocene)의 야청(Yacheng) 그룹과 링수이(Lingshui) 그룹의 침적 시기에 활동 속도가 빨랐고 지형 높이 차이가 컸으며, 침적 지역 물깊이가 깊었고 침적층의 두께가 두꺼워 야청 그룹과 링수이 그룹의 대규모적인 침적 과정을 제어하였고 탄화수소 근원암의 형성에 유리하였다. 집유장(traps)은 주로 단층의 제어를 받는 단층 앞부분(fault nose)과 단층 지괴(fault block)로 조성되었으며 중국 창창(Changchang) 주요 함몰 지역의 융기 지대에는 가장 이상적인 구조 집유장이 형성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931 |
첨부파일 |
|